자유 게시판
배려가 아니고, 존중이고, 존중이 아니고 존엄입니다.

배려위에 존중있고, 존중위에 존엄있습니다.

인간이 존엄하니 존중받아야 하고, 존중의 실천 모습중 하나가 배려이겠지요.

인간은 존엄하니, 독립된 인격체요, 교사도 학생을 독립된 인격체로 대우합니다.

문제는 독립된 인격체라도 아이들의 미숙하니

교사의 감정이 상하고, 아이들의 감정을 해치고

허용과 강제 사이를 오락가락하다가 교사가 스트레스를 받고, 그 스트레스가 애들에게 다시 쏟아지니,

욕구해소가 안되고 교사와의 교감을 실패한 아이들의 문제행동은 늘어만가고,

아이들간에 다툼도 점점 커져만 갑니다. 

두려움과 벌로 눌려지고 외적 보상에 맛들인 아이들은 자유와 책임을 배울 기회를 잃습니다.

지난 겨울 27만5천원이란 거금을 들여 3일간 24간동안 교사역할훈련을 받았습니다.

훈련을 받으려는 목적도 있었지만, 한편으로 교사역할훈련의 실습방식을 배우고 싶었고,

더 정확히 말씀드리면, 내가 강사라면 어떻게 해야할까라는 문제의식을 갖고 함께했습니다.

덕분에 교사역할훈련 책을 제대로 읽지도 않던 내가 훈련과정중 이미 알고 있던 것을 복습하고,

알긴 알지만 의식해야 알 던 것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되었고, 말로만이 아닌 마음으로 자연스러운 행동으로

내 몸에 각인시키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번에 기피 학구에서 6학년 담임에 윤리부장을 맡게 되었습니다. 지난 주 금요일에는 졸지에

짧은 시간이었지만, 백수십명 앞에서 폭력예방*인권교육 연수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을 존엄으로-물론 아이들에게는 익숙한 표현으로 존중이란 표현으로-대합니다.

손장난하고 좀 떠들어도, 분위기 깨는 말을 불쑥불쑥해도, 마음을 가다듬도 아이들을 이해하려고 애씁니다.

문제행동을 합리적으로 제어하고, 때로는 모른 척 합니다. 그러면서 기다려주고 장점을 발견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2주가 지나니까, 아이들도 첫만남의 어색함을 극복하고 개구쟁이 본색을 슬슬 드러냅니다.

그래도 협력적으로 아이들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물론 때로는 엄정함으로 무언의 강렬(?)한 눈빛으로,

예전보다 제어된 잘못한 만큼의 책임 벌칙을 적용합니다. 단, 최소한으로 한다는 원칙만은 꼭 지키고 있습니다.

요즘들어 교사와 학생사이, 비폭력대화, 교사역할훈련, 감정코칭을 하나로 만들면 어떨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작년 후반부 부터 생각만 해오고 아직 완전한 통합은 아이디어 수준에서 그치고 있습니다.

물론 충분히 네가지가 한가지로 통할 수 있습니다.

칼 로저스가 살아있다면 이메일이라도 보내고 싶은 심정입니다.

요즘에 다른 학교 선생님께 물어보니 "역시 3월은 꽉 잡아놔야 편해"라는 말이 대세인 듯 싶습니다.

저는 반대입니다. 잡아놓고 풀어주자가 아니라, 존중을 바탕으로 자유(선택)과 책임으로 아이들에게

힘을 불어넣어주고, 그것을 지키지 못할 때 조금씩 자유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카페라도 만들어서 선생님들과 대화법 적용에 대해서 고민하고, 사례도 나누고 싶습니다.

대화법 3년째 공부이니 이제는 시행착오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함께 하고 싶으신 분 있나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6]태곰

2012.03.20 (10:43:28)

존중, 상우님을 만난 아이들은 운좋은 아이들. 


허나, 아이들이 앞으로 어떤 교사를 만나든 '존중'으로 대우 받을 수 있어야 할텐데요. 


저는 초등학교 4학년때 '나는 개다'를 2시간이 넘도록 외치면서 단체 기합을 받았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상우형님의 실험이 조만간 결실을 맺게 되길 기원합니다. 


그나저나, 창수초등학교가 없어진다는 이야기가 돕니다. 허허..

[레벨:15]오세

2012.03.21 (13:22:28)

전송됨 : 트위터

상우님. 우리 나중에 학교나 하나 세웁시다. 초구 초등학교(초딩도 구조론을 배운다의 줄임말). 

전 초딩을 위한 심리학 교사 겸 상담교사. ㅋ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2.03.21 (22:08:56)

오세님이 함께 한다면 최고의 학교가 될 듯!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 존중과 대화의 학교 문화 만들기 하실 분 모이세요. 3 이상우 2012-03-20 2517
3591 이걸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6 토마스 2012-03-20 2904
3590 선불교 법맥으로 살펴 보는 선차(茶) 계보 image 3 아란도 2012-03-22 10924
3589 소모임 정모 3 귀족 2012-03-22 2392
3588 이털남 들으며 울컥했던 출근길 3 태곰 2012-03-23 2572
3587 아토피등 피부염 치료가능성 구조론에서 찾다 15 기똥찬 2012-03-23 3673
3586 이제 최상의 그림을 그릴 때 8 토마스 2012-03-23 3154
3585 둘째 아이들에 대한 단상. 5 이상우 2012-03-24 9000
3584 31일 '이기는 법' 북 콘서트 image 30 ahmoo 2012-03-24 3685
3583 입력 ---> 출력,기억,제어 ---> 출력 image 2 카르마 2012-03-25 3361
3582 심야토론을 통해 본 총선판도와 바램 7 토마스 2012-03-25 3315
3581 노원 단일선대위, 구역권 단일정책, 합동유세는 김어준의 아이디어! 7 난너부리 2012-03-26 2974
3580 인 적성 검사, 유전자 지문 검사 6 니치 2012-03-28 3689
3579 김재철 이사람은 도의나 삶의 목적이런거 생각하고 살까 1 율리 2012-03-28 2116
3578 섹쉬한 문재인을 보았따 ^^; 1 정나 2012-03-29 2335
3577 어른들이 아이들을 혼낼 때 자주 사용하는 세가지 표현 1 이상우 2012-03-29 3118
3576 이공계 사람들이 좋았단 이유 1 눈내리는 마을 2012-03-30 2113
3575 세계 남자들의 평균얼굴 image 5 르페 2012-03-30 3699
3574 문재인, 야권 대선 후보로서 출신 성분이 이렇게 이상적일 수가? 3 노매드 2012-04-01 3924
3573 감만에 개씨리즈... 2 mrchang 2012-04-02 2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