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2443 vote 0 2012.02.21 (20:41:50)

%BB%E7%C1%F8_446_copy2.jpg

 

청포도는 다른 포도와 달리 포도알이 타원형으로 길쭉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왜 청포도는 길쭉할까?

정답. 핵이 없기 때문이다. 핵이 입자다. 입자가 없으므로 길쭉한 형태가 된다. 청포도는 원래 씨가 없다.

 

이는 다른 대부분의 과일에서도 마찬가지다.

 

* 길쭉한 과일 - 바나나, 오이, 가지, 고구마

* 동그란 과일 - 사과, 배, 호도, 밤

 

물론 대추같은 예외도 있다. 그러나 대추는 씨 자체가 길쭉하게 생겼으므로 논외가 된다.

씨방이 무르면 씨가 있어도 길쭉해질 수 있고, 혹은 씨방이 단단하면 씨가 없어도 동그랗게 된다.

 

야생 다래는 작고 동그란 편인데 이를 개량한 키위는 길쭉해졌다. 역시 청포도와 원리가 같다.

 

크기를 키우면 사이즈가 길어진다. 딸기가 대표적이다. 성장촉진제를 뿌리면 길쭉한 롱딸기가 된다.

 

  dd1.JPG

 

살구 중에 어떤 것은 과육이 조금 생긴 상태에서 꽃가루받이를 하는데 수정에 성공하면 동그랗게 되고 실패하면

길쭉하게 된다. 길쭉하게 된 것이 크기는 크다. 쭉정이가 괜히 큰 것이다. 그러므로 청포도가 일단 수확은 많다.

 

이 원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도 적용된다. 핵이 죽으면 매너리즘 현상이 일어나서 점차 길어지고

막판에는 엇시조를 넘어 사설시조가 된다. 이런걸 알면 직관력이 발달하여 1초만에 상황을 꿰뚫어볼 수 있다.

 

일본은 위아래로 길어서 도쿄와 오사카로 핵이 둘이 되었다. 땅콩이 된 것이다. 동남권 신공항 캠페인은 역시

핵을 둘로 만들려는 진화의 방향성이 작동한 것이다.

 

 

 

 20110814215313768.jpg

 

 

새누리들은 지금 중심이 없으니 좌에서 우까지 점차 길어져서 가운데 허리가 잘리면 아웃.

우리쪽은 진작에 너무 길어져셔 진보당, 민주당 둘로 쪼개진게 차라리 다행. 양쪽에서 협공작전 가능.

 

이런거 예사로 볼 일이 아님. 다 이유가 있음.

 

###

 

아래는 참고

10a.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8]귀족

2012.02.22 (09:33:57)

귀귀.JPG

 

 

머리가 긴 이유가 있었구나
그랬구나.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17]안단테

2012.02.22 (18:28:13)

뼈!없는 낙지, 문어, 오징어, 쭈꾸미의 길쭉한 머리 모양이 생각나는 이유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2.22 (18:36:39)

한나라당도 중심이 없으니 좌에서 우까지 점차 길어져서 아웃.

우리쪽은 진작에 너무 길어져셔 진보당 민주당 둘로 쪼개진게 차라리 다행.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720 엔트로피가 어렵다고? 김동렬 2024-03-15 1019
6719 국혐 포기는 이르다 김동렬 2024-03-14 1770
6718 구조를 보는 방법 김동렬 2024-03-14 946
6717 구조론 대강 김동렬 2024-03-13 1049
6716 교언영색 한동훈 image 김동렬 2024-03-13 1395
6715 처음의 처음 김동렬 2024-03-12 1208
6714 그림은 완성되었다. 1 김동렬 2024-03-12 1462
6713 정치란 이렇게 하는 것이란다 김동렬 2024-03-12 1410
6712 다음의 다음 김동렬 2024-03-11 1184
6711 총선이 한 달 앞이다 김동렬 2024-03-11 1503
6710 물방울이 둥근 이유 김동렬 2024-03-11 967
6709 토리야마 아키라의 드래곤 볼 김동렬 2024-03-10 1222
6708 지구가 둥근 이유 image 김동렬 2024-03-10 1089
6707 자기 자신에게 투표하라. 김동렬 2024-03-10 1143
6706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922
6705 마음의 전략 김동렬 2024-03-09 1140
6704 영화 파묘와 쇠말뚝 해프닝 image 김동렬 2024-03-08 1841
6703 주체적 사고 김동렬 2024-03-07 1103
6702 한동훈 패션안경의 비밀 김동렬 2024-03-07 1502
6701 직관적 사고 김동렬 2024-03-06 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