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2648 vote 0 2012.02.21 (20:41:50)

%BB%E7%C1%F8_446_copy2.jpg

 

청포도는 다른 포도와 달리 포도알이 타원형으로 길쭉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왜 청포도는 길쭉할까?

정답. 핵이 없기 때문이다. 핵이 입자다. 입자가 없으므로 길쭉한 형태가 된다. 청포도는 원래 씨가 없다.

 

이는 다른 대부분의 과일에서도 마찬가지다.

 

* 길쭉한 과일 - 바나나, 오이, 가지, 고구마

* 동그란 과일 - 사과, 배, 호도, 밤

 

물론 대추같은 예외도 있다. 그러나 대추는 씨 자체가 길쭉하게 생겼으므로 논외가 된다.

씨방이 무르면 씨가 있어도 길쭉해질 수 있고, 혹은 씨방이 단단하면 씨가 없어도 동그랗게 된다.

 

야생 다래는 작고 동그란 편인데 이를 개량한 키위는 길쭉해졌다. 역시 청포도와 원리가 같다.

 

크기를 키우면 사이즈가 길어진다. 딸기가 대표적이다. 성장촉진제를 뿌리면 길쭉한 롱딸기가 된다.

 

  dd1.JPG

 

살구 중에 어떤 것은 과육이 조금 생긴 상태에서 꽃가루받이를 하는데 수정에 성공하면 동그랗게 되고 실패하면

길쭉하게 된다. 길쭉하게 된 것이 크기는 크다. 쭉정이가 괜히 큰 것이다. 그러므로 청포도가 일단 수확은 많다.

 

이 원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도 적용된다. 핵이 죽으면 매너리즘 현상이 일어나서 점차 길어지고

막판에는 엇시조를 넘어 사설시조가 된다. 이런걸 알면 직관력이 발달하여 1초만에 상황을 꿰뚫어볼 수 있다.

 

일본은 위아래로 길어서 도쿄와 오사카로 핵이 둘이 되었다. 땅콩이 된 것이다. 동남권 신공항 캠페인은 역시

핵을 둘로 만들려는 진화의 방향성이 작동한 것이다.

 

 

 

 20110814215313768.jpg

 

 

새누리들은 지금 중심이 없으니 좌에서 우까지 점차 길어져서 가운데 허리가 잘리면 아웃.

우리쪽은 진작에 너무 길어져셔 진보당, 민주당 둘로 쪼개진게 차라리 다행. 양쪽에서 협공작전 가능.

 

이런거 예사로 볼 일이 아님. 다 이유가 있음.

 

###

 

아래는 참고

10a.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8]귀족

2012.02.22 (09:33:57)

귀귀.JPG

 

 

머리가 긴 이유가 있었구나
그랬구나.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17]안단테

2012.02.22 (18:28:13)

뼈!없는 낙지, 문어, 오징어, 쭈꾸미의 길쭉한 머리 모양이 생각나는 이유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2.22 (18:36:39)

한나라당도 중심이 없으니 좌에서 우까지 점차 길어져서 아웃.

우리쪽은 진작에 너무 길어져셔 진보당 민주당 둘로 쪼개진게 차라리 다행.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77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804
6784 지구촌의 빡대가리들 김동렬 2024-03-28 1413
6783 문화혁명의 진실 김동렬 2024-04-30 1413
6782 김씨 흉노설 image 김동렬 2024-03-24 1417
6781 말 한마디로 판세가 바뀐다고? 1 김동렬 2024-03-25 1423
6780 국민은 이겨먹으려는 자를 이겨먹는다 김동렬 2024-04-10 1423
6779 본질적 모순 김동렬 2024-02-19 1424
6778 손자병법의 해악 김동렬 2024-02-28 1426
6777 제갈량이 유비를 따라간 이유 김동렬 2024-04-22 1426
6776 박찬욱과 헤어지기 김동렬 2024-04-29 1426
6775 신의 직관 김동렬 2024-03-23 1432
6774 에너지 조립 김동렬 2024-02-08 1434
6773 신과 인간 김동렬 2023-11-27 1437
6772 공자 외에 사람이 없다 김동렬 2024-04-27 1438
6771 에너지 차원 김동렬 2024-02-09 1442
6770 직관의 힘 김동렬 2024-02-17 1443
6769 대란대치 윤석열 1 김동렬 2024-05-16 1446
6768 여론조사는 정확하다 김동렬 2024-04-04 1458
6767 직관적 사고 김동렬 2024-03-06 1462
6766 마동석의 성공 방정식 김동렬 2024-05-05 1468
6765 타이즈맨의 변태행동 김동렬 2024-02-20 1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