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2654 vote 0 2012.02.21 (20:41:50)

%BB%E7%C1%F8_446_copy2.jpg

 

청포도는 다른 포도와 달리 포도알이 타원형으로 길쭉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왜 청포도는 길쭉할까?

정답. 핵이 없기 때문이다. 핵이 입자다. 입자가 없으므로 길쭉한 형태가 된다. 청포도는 원래 씨가 없다.

 

이는 다른 대부분의 과일에서도 마찬가지다.

 

* 길쭉한 과일 - 바나나, 오이, 가지, 고구마

* 동그란 과일 - 사과, 배, 호도, 밤

 

물론 대추같은 예외도 있다. 그러나 대추는 씨 자체가 길쭉하게 생겼으므로 논외가 된다.

씨방이 무르면 씨가 있어도 길쭉해질 수 있고, 혹은 씨방이 단단하면 씨가 없어도 동그랗게 된다.

 

야생 다래는 작고 동그란 편인데 이를 개량한 키위는 길쭉해졌다. 역시 청포도와 원리가 같다.

 

크기를 키우면 사이즈가 길어진다. 딸기가 대표적이다. 성장촉진제를 뿌리면 길쭉한 롱딸기가 된다.

 

  dd1.JPG

 

살구 중에 어떤 것은 과육이 조금 생긴 상태에서 꽃가루받이를 하는데 수정에 성공하면 동그랗게 되고 실패하면

길쭉하게 된다. 길쭉하게 된 것이 크기는 크다. 쭉정이가 괜히 큰 것이다. 그러므로 청포도가 일단 수확은 많다.

 

이 원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도 적용된다. 핵이 죽으면 매너리즘 현상이 일어나서 점차 길어지고

막판에는 엇시조를 넘어 사설시조가 된다. 이런걸 알면 직관력이 발달하여 1초만에 상황을 꿰뚫어볼 수 있다.

 

일본은 위아래로 길어서 도쿄와 오사카로 핵이 둘이 되었다. 땅콩이 된 것이다. 동남권 신공항 캠페인은 역시

핵을 둘로 만들려는 진화의 방향성이 작동한 것이다.

 

 

 

 20110814215313768.jpg

 

 

새누리들은 지금 중심이 없으니 좌에서 우까지 점차 길어져서 가운데 허리가 잘리면 아웃.

우리쪽은 진작에 너무 길어져셔 진보당, 민주당 둘로 쪼개진게 차라리 다행. 양쪽에서 협공작전 가능.

 

이런거 예사로 볼 일이 아님. 다 이유가 있음.

 

###

 

아래는 참고

10a.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8]귀족

2012.02.22 (09:33:57)

귀귀.JPG

 

 

머리가 긴 이유가 있었구나
그랬구나.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17]안단테

2012.02.22 (18:28:13)

뼈!없는 낙지, 문어, 오징어, 쭈꾸미의 길쭉한 머리 모양이 생각나는 이유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2.22 (18:36:39)

한나라당도 중심이 없으니 좌에서 우까지 점차 길어져서 아웃.

우리쪽은 진작에 너무 길어져셔 진보당 민주당 둘로 쪼개진게 차라리 다행.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09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325
6544 윤석열 까는 영화 오펜하이머 김동렬 2023-08-20 2053
6543 권력과 본질 김동렬 2022-07-05 2054
6542 초심자를 위한 구조론 2 김동렬 2022-05-20 2056
6541 다윈이 틀렸다 김동렬 2023-02-13 2058
6540 중력은 없다 김동렬 2023-08-26 2059
6539 전율하다 김동렬 2023-08-31 2060
6538 가짜뉴스 타령이 가짜뉴스다 김동렬 2023-07-31 2061
6537 힘의 처리 김동렬 2023-09-09 2062
6536 가두는 것이 있다 김동렬 2023-07-26 2063
6535 사건의 수학 김동렬 2023-01-04 2064
6534 이것과 저것 1 김동렬 2024-01-26 2068
6533 복제 김동렬 2022-12-07 2074
6532 게임에의 초대 김동렬 2022-06-23 2075
6531 관통자 김동렬 2023-08-23 2077
6530 서울의 봄 위대한 전진 2 김동렬 2023-12-12 2078
6529 세 번째 모노리스 김동렬 2023-09-03 2079
6528 진리는 도구다 김동렬 2022-06-30 2082
6527 넙치의 비밀 김동렬 2022-11-30 2084
6526 민희진과 배신자들의 말로 김동렬 2024-06-02 2084
6525 철학의 첫 단추 김동렬 2022-04-09 2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