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929 vote 0 2008.09.30 (23:34:10)

 

구조론은 세상을 해석하는 경로다. 우편물을 배달하려면 주소체계가 필요하고, 웹을 해석하려면 웹브라우저가 필요하고, 자료를 전송받으려면 압축프로그램이 필요하듯이, 세상을 해석하려면 구조론이 필요하다.

###

구조론은 복잡한 것을 단순화 시킨다. 점≫선≫각≫입체≫밀도의 순으로 공간을 압축하고, 사실≫의미≫가치≫개념≫원리의 순으로 정보를 압축하고, 량≫운동≫힘≫입자≫질의 순서로 물질을 압축한다.

많은 웹사이트를 ‘www’ 주소체계 하나로 통일하듯이, 많은 메모를 작은 수첩 하나에 전부 기록하듯이, 소지품을 가방 속에 차곡차곡 집어넣듯이, 구조론은 흩어져 있는 것을 정리하여 한 번에 운반하게 한다.

보통은 열거형으로 나열한다. 그러므로 복잡하다. 감당하기 어렵다. 자유자재로 다루지 못한다. 구조론은 흩어져 있는 것을 모아서 선으로 정렬하고, 각으로 압축하고, 입체적인 모형으로 구축해 들어간다.

처음부터 끝 까지 한 줄에 꿰어낸다. 안으로는 차곡차곡 정리하여 전모를 볼 수 있게 하고, 바깥으로는 문을 내고 길을 열어 소통하게 한다. 한 번의 조작으로 계 전체를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게 한다.

세상은 관계다. 가까운 관계와 먼 관계가 있다. 관계의 멀고 가까움에 따라 단계적으로 압축할 수 있다. 사실을 의미 속에 넣고, 의미를 가치 속에 넣고, 가치를 개념 속에 넣고, 개념을 원리 속에 담아낼 수 있다.

그렇게 압축되지 않고, 단순화 되지 않고, 흩어져 있거나 나열되어 있으면 운반할 수 없다. 통제할 수 없다. 움직일 수도 없고 변화할 수도 없다. 외부 세계와 관계를 맺을 수 없다. 그러므로 발전할 수 없다.

구조론은 분류하고, 압축하고, 정리하고, 편집하고, 단순화 하는 체계다. 시간적 우선순위와 공간적 접근경로에 따라 압축한다. 압축된 상태로 전달한다. 그리고 필요한 때 그 압축을 풀어 사용하게 한다.

일이 진행되는 일 사이클의 전개에 따라 입력≫저장≫제어≫연산≫출력의 순으로 정리한다. 사건의 진행은 원인≫작용≫판정≫반작용≫결과로 정리하고, 사유의 발전은 과학≫철학≫사상≫이념≫미학으로 정리한다.

구조론은 서랍과 같다. 정보는 파일에 담고, 파일은 폴더에 담고, 폴더는 프로그램에 담고, 프로그램은 OS에 설치하듯이 차례차례 담아낸다. 구조론의 서랍에 담는 과정은 복잡해 보이지만 실로 단순하다.

흩어진 물건을 차곡차곡 정리할수록 방은 점점 깨끗해진다. 구조론 서랍을 사용할수록 세상은 더 단순화 된다. 간편해지고 명쾌해진다. 완전히 정리되었을 때 지극한 아름다움에 이른다. 거기서 새로운 지평이 열린다.

아기가 엄마품을 찾아 안기듯이, 노동자가 하루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듯이 푸근함이 그 가운데에 있다. 에너지의 순환이 있고 잉여의 창출이 있다. 의미가 있고 가치가 있고 위대한 낳음이 있다. 깨달음의 세계다.

www.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061
1337 언어구조론 김동렬 2021-10-13 3051
1336 일원 이차 다양 2 김동렬 2021-10-14 2957
1335 생각의 기술 김동렬 2021-10-15 3114
1334 방향성에 목숨을 걸어라 김동렬 2021-10-15 4018
1333 김대중의 예견 김동렬 2021-10-16 3521
1332 명령과 동원 김동렬 2021-10-17 3047
1331 사회진보론 김동렬 2021-10-17 3080
1330 인간선언 김동렬 2021-10-18 3276
1329 상호작용론 1 김동렬 2021-10-18 2945
1328 결정론의 오류 김동렬 2021-10-18 4353
1327 방향성의 깨달음 김동렬 2021-10-19 2951
1326 전두환 윤석열 김동렬 2021-10-20 3782
1325 권력의 진화 1 김동렬 2021-10-20 3217
1324 전두환 충신 윤석열 김동렬 2021-10-20 4071
1323 윤석열, 이건 공포영화다. 2 김동렬 2021-10-23 4009
1322 구조론 김동렬 2021-10-24 2678
1321 다시 쓰는 구조론 김동렬 2021-10-24 2676
1320 사건이 사물에 앞선다 김동렬 2021-10-24 3012
1319 유체가 강체를 이긴다 김동렬 2021-10-25 3024
1318 자유의지의 의미 김동렬 2021-10-25 3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