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8338 vote 0 2008.08.14 (01:23:21)

소통의 구조에 접점이 있고 그 접촉부분은 열려 있으므로 완성도 문제가 제기되며 모든 예술은 결국 완성의 모습을 찾아가기다. 완성하기 위해서는 서로 연결해야 한다. 예술이란 둘을 하나로 잇는 문제다.

하나의 구조체 내부에서 요소들을 통일하는 것은 테마다. 구조체 밖으로 나와서 서로 다른 별개의 둘을 연결하는 것은 스타일이다. 스타일은 스틸(steel)에서 나왔다. 스틸은 쇠다. 쇠는 단단하다. 왜 단단한 것이 필요한가?

단단하게 연결하기 위해서다. 그러므로 스타일 문제는 연결부위에서 일어난다. 그림이라면 인물과 배경의 접점이 문제다. 그 접점에 무엇이 있는가? 윤곽선이 있다. 윤곽선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가 모든 화가의 고민이다.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동양화처럼 여백을 두어 접점을 희미하게 하는 방법과 거꾸로 윤곽선을 굵게 하는 방법이다. 명성을 얻은 화가들은 대개 피카소처럼 윤곽선을 굵게 한다. 그래야 선이 굵은 그림이 되기 때문이다.

이중섭의 소는 굵은 윤곽선 만으로 충분히 완성되고 있다. 고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마네의 피리부는 소년은 아예 배경을 생략해 버리는 방법을 쓴다. 역시 접점의 문제에 대한 고민의 결과다.

그 점점을 해결했을 때 소통은 일어난다. 작가와 작품 사이에서 일어난 소통이 작품과 관객 사이의 소통으로 복제된다. 음악이든 회화든 영화든 너와 나의 사랑이든 마찬가지다. 모든 예술은 둘 사이에서 소통의 접점을 고민한다.

다양한 방법이 있다. 밝음과 어둠의 대비 수법도 있고 세잔이 형태를 강조하는 것도 그렇고 그 모든 것은 결국 주제와 배경의 접점문제 해결이다. 어떻게든 그림은 선이 굵어야 한다. 그것은 대칭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동양화는 산과 물, 정과 동의 대칭성을 드러내고 서양화는 근경과 원경, 인물과 배경의 대칭성을 드러낸다. 대칭성을 드러낼 때 인간은 긴장하여 집중하고 그 대칭의 접점을 해소할 때 인간은 편안하게 이완된다.

그 절정의 긴장된 집중에서 편안한 이완으로 급반전될 때 쾌감을 느낀다. 오르가즘을 느낀다. 그 쾌감은 인간 내부의 질서에서 유도된다. 그 마음의 질서를 끌어내는 것은 예술가가 완성한 작품 내부의 미학적 질서다.

www.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75
6721 마이너스가 정답이다. 김동렬 2011-10-27 18822
6720 각주구검의 오류 image 3 김동렬 2010-06-10 18813
6719 김동길의 기구한 팔자 김동렬 2002-12-18 18812
6718 저항을 넘어서 자유를 바라보기 2005-08-05 18788
6717 김두관, 참여정부가 암흑기였다? 김동렬 2007-06-28 18762
6716 소통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2 18742
6715 신과 인간의 관계 김동렬 2009-02-18 18701
6714 진중권을 불신하게 된 이유 김동렬 2003-05-25 18684
6713 김대중 전 대통령 CBS창사 50주년 대담 김동렬 2004-10-22 18649
6712 럭스와 카우치 2005-08-03 18646
6711 엘 고어 감독의 불편한 진실 image 11 김동렬 2010-02-17 18633
6710 내가 진중권을 고소하는 이유 김동렬 2003-05-24 18616
6709 단일화충격 - 이것이 노무현식 정치다 image 김동렬 2002-11-11 18614
6708 반갑습니다. 손님이 많아졌네요-.-;;(ㅁㅜ) 김동렬 2002-09-16 18608
6707 먹는거 가지고 장난치지 맙시다. image 김동렬 2003-12-02 18601
6706 에너지는 1을 따라간다. image 김동렬 2011-08-27 18598
6705 미녀 응원단을 환영하며 image 김동렬 2003-08-20 18594
6704 송두율은 죽었다 image 김동렬 2003-10-02 18563
6703 DJ가 한번 더 평양을 다녀와야 한다 image 김동렬 2003-06-16 18563
6702 칼기 사건의 진실은? image 김동렬 2003-11-20 18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