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8380 vote 0 2008.08.14 (01:23:21)

소통의 구조에 접점이 있고 그 접촉부분은 열려 있으므로 완성도 문제가 제기되며 모든 예술은 결국 완성의 모습을 찾아가기다. 완성하기 위해서는 서로 연결해야 한다. 예술이란 둘을 하나로 잇는 문제다.

하나의 구조체 내부에서 요소들을 통일하는 것은 테마다. 구조체 밖으로 나와서 서로 다른 별개의 둘을 연결하는 것은 스타일이다. 스타일은 스틸(steel)에서 나왔다. 스틸은 쇠다. 쇠는 단단하다. 왜 단단한 것이 필요한가?

단단하게 연결하기 위해서다. 그러므로 스타일 문제는 연결부위에서 일어난다. 그림이라면 인물과 배경의 접점이 문제다. 그 접점에 무엇이 있는가? 윤곽선이 있다. 윤곽선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가 모든 화가의 고민이다.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동양화처럼 여백을 두어 접점을 희미하게 하는 방법과 거꾸로 윤곽선을 굵게 하는 방법이다. 명성을 얻은 화가들은 대개 피카소처럼 윤곽선을 굵게 한다. 그래야 선이 굵은 그림이 되기 때문이다.

이중섭의 소는 굵은 윤곽선 만으로 충분히 완성되고 있다. 고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마네의 피리부는 소년은 아예 배경을 생략해 버리는 방법을 쓴다. 역시 접점의 문제에 대한 고민의 결과다.

그 점점을 해결했을 때 소통은 일어난다. 작가와 작품 사이에서 일어난 소통이 작품과 관객 사이의 소통으로 복제된다. 음악이든 회화든 영화든 너와 나의 사랑이든 마찬가지다. 모든 예술은 둘 사이에서 소통의 접점을 고민한다.

다양한 방법이 있다. 밝음과 어둠의 대비 수법도 있고 세잔이 형태를 강조하는 것도 그렇고 그 모든 것은 결국 주제와 배경의 접점문제 해결이다. 어떻게든 그림은 선이 굵어야 한다. 그것은 대칭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동양화는 산과 물, 정과 동의 대칭성을 드러내고 서양화는 근경과 원경, 인물과 배경의 대칭성을 드러낸다. 대칭성을 드러낼 때 인간은 긴장하여 집중하고 그 대칭의 접점을 해소할 때 인간은 편안하게 이완된다.

그 절정의 긴장된 집중에서 편안한 이완으로 급반전될 때 쾌감을 느낀다. 오르가즘을 느낀다. 그 쾌감은 인간 내부의 질서에서 유도된다. 그 마음의 질서를 끌어내는 것은 예술가가 완성한 작품 내부의 미학적 질서다.

www.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6893
2017 좌는 무엇이고 우는 또 뭔소린고? 김동렬 2003-08-19 13389
2016 자연의 결은 일방향이다. image 3 김동렬 2011-07-26 13389
2015 조기숙 청와대에 입성하다 image 김동렬 2005-02-19 13399
2014 매력은 권력이다 image 5 김동렬 2016-12-28 13402
2013 단일화 논쟁을 더 확대하고 이용해야 한다 아다리 2002-11-11 13403
2012 다섯 가지 구조 김동렬 2008-07-18 13403
2011 존재론과 인식론의 구분 image 김동렬 2017-02-09 13403
2010 김정일의 목을 조르고 부시의 팔을 비틀어라 image 김동렬 2003-02-17 13414
2009 진화생물학이냐, 분자생물학이냐? image 1 김동렬 2017-04-11 13415
2008 걱정되는 강준만의 조로 image 김동렬 2003-09-03 13416
2007 동아일보의 충격요법 김동렬 2004-08-18 13422
2006 Re.. 아름다운 것은 주관적인 것이다. 개똥벌레 2002-10-05 13423
2005 척력은 있고 인력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7-02-27 13424
2004 민노당도 변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04-01-30 13427
2003 김기덕의 활 김동렬 2005-05-16 13427
2002 전여옥, 진중권도 있는데 토론상대가 없다니? 김동렬 2004-06-01 13433
2001 노노믹스가 나왔는가? 김동렬 2004-06-13 13435
2000 돌부처가 된 노무현 2005-08-07 13439
1999 노무현은 사람을 믿는다 image 김동렬 2004-02-25 13441
1998 만유의 근본은 느끼는 거리다. image 3 김동렬 2017-08-22 13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