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493 vote 0 2012.02.14 (22:41:34)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구조론은 ‘나쁜 길로 가라’고 말한다. 물론 여기서 나쁜 길이 도덕적, 윤리적 의미에서의 나쁜 길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편한 길 찾지 말고 궂은 길로 가라는 말이다.

 

그것은 입자가 아닌 질을 선택하는 것이며, 개인의 판단이 아닌 집단의 지혜를 끌어내는 것이며, 개인의 성공이 아닌 세력의 성공에서 답을 찾는 것이다. 항상 공동체의 관점, 팀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물론 단기적으로는 좋은 길을 가야 한다. 답을 알고 있을 때는 곧장 그 길로 가면 된다. 그러나 답을 모를 때는 장기전을 해야 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그러러면 내가 앞장서서 궂은 일을 떠맡아야 한다.

 

이때의 방법은 무작정 내부의 상호작용을 늘리는 것이다. 떠들썩하게 일을 벌여야 한다. 그래서 잘못되어도 상관없다. 미리 예방주사를 맞고 경험치를 쌓은 셈으로 치면 된다.

 

상호작용 과정에서 숨은 위험요소가 모두 드러나게 하는 거다. 이 경우 문제가 스스로 답을 찾아낸다. 내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문제가 나를 해결하도록 소동을 피우는 거다. 그러다가 잘못되면 다치는 수가 있지만 그 정도는 각오해야 한다.

 

◎ 답을 모를 때는 소동을 피워 문제가 나를 해결하게 하라.

 

좋은 친구를 사귀는 방법 중의 하나는 친구가 먼저 나를 찾아오게 하는 것이다. 내가 먼저 나서서 궂은 일을 맡으면 친구가 나를 발견하고 찾아온다. 숲을 온통 들쑤셔 놓으면 사슴이 제 발로 사냥꾼을 찾아온다.

 

문제가 스스로 답을 들고 사람을 방문한다. 바운더리를 통째로 흔들어 놓는 방법이다.

 

무엇인가? 사건 안에 결이 있다. 무조건 에너지를 투입하면 그 결이 드러난다. 결이 드러날 때 모든 것이 분명해진다. 그 길을 가면 된다. 때로 답을 찾으려 하는 것은 현명한 방법이 아닐 수 있다.

 

답이 나를 찾아내게 하는 거다. 뾰족하게 자신을 드러내면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먼저 연락을 해 온다.

 

온통 들쑤셔 놓으면 쥐구멍에 숨었던 쥐가 머리를 내민다. 무턱대고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이면 원심분리기 효과로 계에 질서가 성립된다. 인간들이 비중대로 줄을 선다. 나꼼수가 소동을 피우면 모두가 한 마디씩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창의와 혁신이 일어난다. 방향은 스스로 분명해진다.

 

정답은 팀이다. 혼자서는 이길 수 없다. 절대로 세력을 업어야 한다. 문제는 그 팀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소동을 피우고 일을 벌이면 저절로 팀이 갖추어진다. 공격수도 나타나고, 수비수도 나타나며, 골키퍼도 출현하고, 감독도 들어온다. 저절로 필요한 포지션이 갖추어진다.

 

내가 원하는 승리는 이렇게 팀을 꾸린 다음에 꾀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승리만 얻으려 하면, 이익만 얻으려 하면, 곶감만 빼먹으려 하면, 성공만 얻으려 하면 결국 실패하고 만다. 팀을 얻으려 하면 모든 것이 저절로 얻어지고 성공을 얻으려 하면 모든 것이 내게서 떠나간다.

 

세상의 근본은 질서다. 그 질서는 평소에 잠복하고 있다가 계에 에너지를 투입하면 나와준다. 그러므로 묻지말고 에너지를 투입하라. 닥치고 상호작용을 늘려라. 무작정 페달을 밟아라. 자전거는 화가 나서 스스로 균형을 잡는다. 무작정 헤엄쳐라. 물은 화가 나서 스스로 당신을 띄운다.

 

명심할 일이다. 정답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우리가 널리 세력을 얻고 팀을 이루는 것이다. 그 팀에는 자연도 포함되고, 우주도 포함되고, 신도 포함된다. 정답은 인류의 진보다. 인류는 한 팀이다. 인류를 진보시키겠다는 목표를 끝끝내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

 

  첨언한다면 어떤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틀려먹은 겁니다. 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요? 벼룩이나 모기라도 존재하는 데는 이유가 있고 정당성이 있습니다. 정답은 인류가 위대해지고 존재가 위대해지는 것입니다. 인간이 문제를 해결하겠다면 건방진 생각입니다. 세상이 인간을 해결하는 거에요.

 

 

 70.JPG


 

 

 0.JPG


http://gujoron.com




[레벨:3]귤알갱이

2012.02.15 (17:52:14)

"어떤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틀려먹은 겁니다."

=> 요 문장에 적극 동의합니다.

더불어 "노는만큼 성공한다"의 저자 심리학자 '김정운' 박사의 관점과도 일치하네요.

최근 SBS TV 강연에서 말하길

과거에는 심리학이 인간의 문제점을 찾아 고치려고 했지만 실패였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사람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그래서 지금은

Positive Science라고 해서

문제점을 고치는 방식이 아니고 가지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간다고 하더라구요.


인간이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그 흐름에 올라타서 살아갈 때 진정 행복할 수 있는게 아닌가 합니다.

한 사람의 존재 자체도 타고난 자연의 본성이 있는데 그걸 거스를 수 없는데

그걸 갖고 싸우려고 하면 실패하죠.

진중권과 같은 류의 사람들이 문제점이

대중은 멍청하니까 가르쳐야 한다고 보는 건데

사람의 사고가 그렇게 생긴건데 그걸 잘못됐다고 보고

가르치려고 하고 그러다가 안 되니까 조롱이나 하고...그래서 실패라고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귀족

2012.02.19 (09:51:55)

이제 만분의 1만큼 이나 알았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03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667
6769 매트릭스 3탄 서프라이즈 레볼루션이 온다 image 김동렬 2003-07-03 19291
6768 여러분 고생많았습니다. 김동렬 2002-12-19 19282
6767 학문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0-22 19280
6766 박노자의 글을 읽는 법 김동렬 2003-01-10 19274
6765 Re..태풍 루사에 저항하고 있는 거인의 손 image 김동렬 2002-09-14 19203
6764 물레방아의 작동구조 image 2 김동렬 2011-05-31 19191
6763 학문의 역사 - 쫓겨다니는 문명, 매혹당하는 문명 김동렬 2006-01-25 19187
6762 노무현 대통령이 잘못한 것들 김동렬 2006-08-19 19120
6761 누가 정몽헌을 죽였나? image 김동렬 2003-08-05 19120
6760 섹스 후에 남는 것들 14 김동렬 2017-05-01 19107
6759 Re..그의 선택이 비난받는 이유.. 스피릿 2003-06-07 19079
6758 나사풀린 대통령 노무현 김동렬 2003-05-28 19078
6757 이현세의 실패 image 김동렬 2009-01-15 19057
6756 사색문제 image 김동렬 2011-09-12 19049
6755 Re.. 조갑제는 최병열과 공작 한나라당 인수작업돌입 김동렬 2002-12-09 19036
6754 유시민에게 공업용 미싱을 선물하며 image 김동렬 2003-04-25 19034
6753 [시사저널-서프라이즈 소개] 세상을 놀래키리라 image 김동렬 2002-11-05 19011
6752 아이큐 테스트 image 2 김동렬 2012-11-29 18985
6751 '살인의 추억' 화성연쇄사건 김동렬 2003-05-12 18964
6750 당신은 이미 구조론 안에 있다. 김동렬 2010-03-04 18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