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6208 vote 0 2008.08.05 (12:29:14)

깨달음은 언제 소용되는가?

세종이 비밀리에 혼자 한글을 만들었는데 중국과 일본의 운서를 들여온 때가 세종 22년이라 하니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한글을 연구했다고 보면 착수한지 3년 만에 한글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집현전 학자들이 한글창제에 참여하였다는 이야기는 100 퍼센트 날조된 허구다. 함께 만들었다고 해야 위인전을 읽는 독자들이 더 신나기 때문에 위인전의 법칙에 따라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다.  

창제 이후 3년 동안 문종과 세조를 비롯한 직계 가족들에게 가르쳐서 시험하였고 1446년에 반포하였으나 언문(발음기호)으로 기능했을 뿐이며 한글이 널리 쓰이게 된 것은 그로부터 500년이 지난 1945년 해방 이후의 일이다.

석가가 2500년 전에 깨달았다고는 하나 그것은 영감을 주는 하나의 아이디어로 전해졌을 뿐이며 이후 동아시아 일대에서 종교로 기능했다고는 하나 그것은 깨달음의 본의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한글은 백성을 위해 만든 글자인데 백성의 시대가 오지 않으니 한글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다. 500년 후 한글이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문명이 진보하여 비로소 백성의 시대가 왔기 때문이다.

문자가 지배계급이 피지배계급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존재한다면 한글은 개념이 다른 것이다. 오늘날 수구떼가 영어를 추종하는 이유도 백성의 시대를 끝막고 새로 귀족의 시대를 열어보기 위한 것이다.

결국 21세기 현대문명의 진로가 결정하는 것이다. 깨달음이 사회에 널리 받아들여지는가는 작금의 산업화 국면이 진정되고 인문의 시대가 오는가에 달려있다. 위대한 소통의 시대가 오는가에 달려 있다.  

석가는 인생이 고(苦)이기 때문에 해탈이 필요하다고 말했지만 대부분의 인간들은 행복하게 잘 살고 있다. 그들에게 인생은 고가 아니다. 깨달음은 필요한 사람에게나 필요할 뿐이다.

사막의 건천에 뿌려진 씨앗은 오백년 만에 싹이 트기도 하고 천년 만에 싹이 트기도 한다. 깨달음은 한글을 익히는 문제가 아니라 한글로 소통되는 문명을 건설하는 문제다. 이 사막에 문명의 비가 와야 한다.

한글은 하룻만에 익힐 수 있지만 그 문명의 건설은 결코 쉽지 않다. 그래도 해보겠다는 사람은 이 길을 계속 가보기다.

###

깨달음은 옷과 같다. 혼자 튀는 옷을 입으면 어색해진다. 고립된다. 유행하면 모든 사람이 똑 같은 옷을 입어서 역시 본뜻과는 멀어지고 만다. 튀어도 안 되고 유행해도 안 된다.

어느 명상가를 만난 일이 있는데 그는 목욕도 하지 않고 수염도 깎지 않고 양말도 신지 않고 구두를 빠개 신으며 자유스럽게 살고 있었다. 추종자들도 남녀 없이 머리도 깎지 않고 화장도 하지 않고 지저분하게 하고 있었다.

그들은 자신의 내부에 감추어진 끼를 드러내지 않았다. 단지 모방할 뿐이었다. 획일화 되었다. 그들은 서로 간에 만남의 긴장을 조성하지 않기 때문에 할 말이 점점 없어졌다. 그들은 말없이 앉아있었다.

www.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36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5496
581 열정과 사랑 사이 김동렬 2006-02-07 16164
580 1분만에 끝내는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0-04-07 16164
579 Re..핵심적인 내용이 편집되어 버렸음 김동렬 2002-10-09 16167
578 너무 화가나면.. 부시 2002-12-19 16167
577 우리는 가르치지 않는다 image 5 김동렬 2010-04-28 16171
576 Re..특히 부인의 옷차림의 의미.. Y 2002-12-19 16173
575 --------- 어머님 전상서 --------- (펌) 1 김동렬 2002-10-29 16175
574 월요일 동영상 해설 김동렬 2009-06-02 16175
573 동영상강의 일부 해설 김동렬 2009-08-31 16180
572 각 포지션들 image 2 김동렬 2011-06-09 16183
571 후보단일화 때문에 대통령된다?? 폐인 2002-11-25 16187
570 미네르바의 부엉이 image 김동렬 2003-06-10 16187
569 Re..여론조사 전화 받음. 서석정 2002-12-21 16191
568 계를 발견하기 1 김동렬 2009-08-27 16193
567 문화일보 도올인터뷰 김동렬 2002-11-26 16196
566 너무 낙관적. 학교에서 2002-12-04 16198
565 전 대통령감은 아닌가 봅니다. ^^;;; 탱글이 2002-11-15 16200
564 노력이면 실패다 김동렬 2010-05-24 16202
563 뭐야, 도올 돌팅이 2002-12-04 16205
562 최홍만이 귀엽다? image 6 김동렬 2011-10-13 16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