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175 vote 0 2009.04.16 (12:12:59)

1239809139_3-alexey-tishevsky-foto-portreti.jpg


현대성의 의미,
곧 문명의 디자인이란 관점은

이 그림이 '좋다, 나쁘다' 하는 판단을 떠나서
'이 그림은 이곳에 두고 저 그림은 저곳에 둔다'는 것이다.

그렇다.
나는 여러 사진들 중에서 이 사진을 맨 위에 배치한 것이다.

거실에 걸 그림과 사랑방에 걸 그림과 로비에 걸 그림은 다르다.
이 그림이 좋다면 그 '좋음'은 따라다니며 나를 귀찮게 할 것이 틀림없다.

튀는 디자인은 금방 주의를 끌지만 곧 식상해진다.
자꾸만 따라다니며 귀찮게 하기 때문에 식상해지는 것이다.

그림을 걸어두는 것은 적어도 그림은 내게 잔소리를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 그림이 좋다'는 관점은 그림이 내게 잔소리를 한다는 의미가 된다.

잔소리하지 말아야 한다.
튀지 말아야 한다.

내 입에 맞는 맛좋은 음식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밥과 반찬과 과일과 술과 커피 사이에서 밸런스를 추구하는 것이다.
 

1239797959_the_end_by_alilar.jpg


이 사진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두 인물과 스크린에 비친 영상의 관계가 존재할 뿐

두 인물이 부부싸움을 했다는 것도 아니고 어떤 교훈도 없다.
그림이 관객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아니라

인물과 스크린에 비친 그림자의 관계 그 자체가 재미있을 뿐이다.
그리고 그 관계는 그림 밖으로 확장되어 더 많은 관계의 촉수들과 인연을 맺는다.


1239812007_62-landscape-photos-dr.-kiss-akos-zoltan.jpg


칼라들은 서로 호응한다.
그 뿐이다. 그것으로 충분하다.


1239651276_1-sapronov-andrey-foto-nu.jpg


변두리 도시 빈민의 고단한 삶이 아니라
그저 조명의 명암이 연출하는 다채로운 입체감에 주목할 뿐이다.


1239651662_130-photos-nude-sapronov-andrey.jpg


그것은 하나의 포즈다.
현대인에게 요구되는 것은 포즈다.

왜?
관계맺기 위하여.


1239708101_2009_by_d4d1-chine-portraits.jpg


이 여인이 무슨 생각을 하는 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하늘과 푸른색과 나뭇가지와 곡선들의 결합에 관심이 있을 뿐이다.


1239723860_mitch-weiss-just_a_glimpse_by_omega300m.jpg


안이든 밖이든 상관없다.
대칭구조 그 자체를 즐길 뿐이다.


1239811990_82-landscape-photos-dr.-kiss-akos-zoltan.jpg

제목이 실패다.
피든 잉크든 상관없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id: 삶은 달걀삶은 달걀

2009.04.16 (22:41:11)

그아이의 눈.jpg

세 창문.jpg저울.jpg
첨부
List of Articles
No. Title Name Date Read
  • 117

    김동렬
    2009-04-30         Read 6535


  • 116

    김동렬
    2009-04-29         Read 8501


  • 115

    김동렬
    2009-04-28         Read 4802


  • 114

    과녁 image 3
    김동렬
    2009-04-27         Read 8435


  • 113

    김동렬
    2009-04-24         Read 8309


  • 112

    김동렬
    2009-04-22         Read 4417


  • 111

    김동렬
    2009-04-21         Read 4894


  • 110

    김동렬
    2009-04-20         Read 4807


  • 109

    김동렬
    2009-04-19         Read 7633


  • 108

    김동렬
    2009-04-16         Read 5867


  • »

    김동렬
    2009-04-16         Read 7175


  • 106

    김동렬
    2009-04-15         Read 4736


  • 105

    김동렬
    2009-04-14         Read 5261


  • 104

    김동렬
    2009-04-12         Read 5067


  • 103

    김동렬
    2009-04-10         Read 10646


  • 102

    김동렬
    2009-04-09         Read 6804


  • 101

    김동렬
    2009-04-08         Read 9386


  • 100

    김동렬
    2009-04-07         Read 4643


  • 99

    김동렬
    2009-04-06         Read 17927


  • 98

    김동렬
    2009-04-05         Read 3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