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114 vote 0 2008.06.19 (22:51:28)

예견할 수 있다

한 분야의 베테랑은 다음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그 일의 전체과정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일머리를 알기 때문이다. 일의 우선순위와 접근경로를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베테랑도 익숙한 자기분야에 한해 예측이 가능할 뿐이다.

고수는 상대가 어떻게 나올지 뻔히 예측할 수 있다. 자신이 판을 짰기 때문이다. 자신이 상황을 장악하고 주도하기 때문이다. 상대는 낚인 것이다. 함정에 빠졌다. 단수를 치고 장구을 부르면 빠져나가는 길은 외길이다. 예측할 수 있다.

모든 변화는 높은 질서에서 낮은 질서로 이행한다. 높은 포지션을 선점한 사람이 상대를 낚을 수 있다. 밀도의 포지션을 차지했다면 5장의 카드를 쥔 셈이다. 입체는 4장, 각은 3장, 선은 2장, 점은 1장의 카드 뿐이다.

적을 유인하여 함정에 빠뜨렸다면 적은 점의 포지션에 있다. 적은 함정에서 빠져나오는 수 외에 다른 카드가 없다. 반면 이쪽은 밀고 당기며 여러 카드를 쓸 수 있다. 적의 움직임을 뻔히 예측할 수 있다.  

앞날을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만 그 예측모형을 만들고 이를 객관하하여 널리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은 적다. 구조론의 의미는 입체적인 구조의 예측모형을 만들 수 있다는 데 있다. 객관적인 예측이 가능하다.

예측이 가능한 이유는 구조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대칭원리다. 수요와 공급은 대칭된다. 가격이 오르면 수요는 줄어들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는 늘어난다. 가격의 오르내림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수요와 공급의 원리는 선형구조다. 더 많은 대칭구조가 모여서 입체적 모형을 구축한다. 세상 돌아가는 원리는 더 복잡하다. 더 많은 변수가 맞물려 있다. 가격이 오르면 사재기가 가세하여 더 올라간다. 예측할 수 없다.

세상은 크다. 그것은 하나의 동그라미다. 동그라미는 인류문명의 동그라미다. 큰 동그라미 안에 작은 동그라미가 있고, 작은 동그라미 안에 더 작은 동그라미가 있다. 무수히 많은 동심원들이 존재한다. 예측하기 어렵다.

입체적 구조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진행되고 있는 변화가 1년 주기의 작은 사이클인지 혹은 100년 주기의 큰 사이클인지 아니면 인류문명 단위의 더 큰 사이클인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예측할 수 있다.

예측은 가능하다. 패턴을 읽어서 예측할 수 있다. 함정을 파고 상대성을 유인하여 예측할 수 있다. 주도권을 장악하고 게임을 지배하는 방법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약하다. 진짜는 창의다.

참된 자는 상대성을 끊는다. 대칭구조를 끊는다. 상대를 유인하지 않는다. 함정을 파지 않는다. 상대하지 않는다. 그들은 바깥으로 나아가 새로운 지평을 연다. 그들은 창조한다. 예측을 뛰어넘는다. 예측조차가 불필요하다.

지성인이라면 미래를 내다볼 수 있어야 한다. 지식은 한 부분을 보는 것이고 지성은 전체를 보는 것이다. 전모를 보아야 예측이 가능하다. 사람의 일상적 사고는 선형적 사고다. 입체적 사고를 할 수 있어야 전모를 볼 수 있다.  

www.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485
1979 탈 사회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8-02 2924
1978 공화주의와 자유주의 2 김동렬 2020-08-03 2790
1977 일본의 몰락 이유 1 김동렬 2020-08-04 3563
1976 이념의 진실 5 김동렬 2020-08-04 3263
1975 질러야 한다. 1 김동렬 2020-08-05 3191
1974 이념은 하나다. 1 김동렬 2020-08-06 2411
1973 샘 오취리의 항의 image 12 김동렬 2020-08-07 4401
1972 사회게임론 1 김동렬 2020-08-07 3086
1971 권력의 자유주의와 보상의 사회주의 1 김동렬 2020-08-09 2639
1970 저능아 진중권 2 김동렬 2020-08-10 3456
1969 사회적 자유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8-10 2559
1968 조국백서의 의미 2 김동렬 2020-08-12 3173
1967 구조론의 이해 1 김동렬 2020-08-12 2593
1966 삼국지 구조론 1 김동렬 2020-08-12 3577
1965 구조론이 5로 설명되는 이유 1 김동렬 2020-08-14 2689
1964 전광훈이 미통당 잡는다 2 김동렬 2020-08-16 3614
1963 비겁한 지식인들 1 김동렬 2020-08-17 2702
1962 기안84를 보는 눈 1 김동렬 2020-08-17 2854
1961 게임과 권력 그리고 보상 1 김동렬 2020-08-17 2684
1960 창발주의 등판 1 김동렬 2020-08-18 2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