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440 vote 0 2008.01.28 (21:47:38)

깨달음 세상 사람들

내 방식의 신과의 대화에 대해


깨달음 세상 사람들도 밥먹고 살려면 뭔가 생산적인 활동을 해야 할 것이다. ‘깨달음 세상 사람들’이라는 표현은 방금 생각해 낸 거다. 깨달은 사람이냐 못깨달은 사람이냐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는 수준이하들을 배척하기 위함이다.


신은 완전하다. 그 완전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완전할 때 통한다. 통하는 세계가 있다. 그 통하는 세계의 연주자가 있고 또 청중들이 있다. 그 연주자와 그 청중들이 깨달음 세상 사람들이다. 그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별세계가 있다.

 

깨달음은 신어(新語)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다른 방식의 소통의 수단이다. 말하자면 에스페란토와 같은 것이다. 에스페란토를 쓰는 사람들은 자주 회합을 하는데 그들의 모임에서는 특별한 일이 일어난다. 그것이 그 집단의 매력이다.


깨달음의 언어로 소통하는 사람들도 자주 회합을 갖는데 그 모임에서도 특별한 일이 일어난다. 멋진 일이 있다. 그것이 이 공간의 존재이유다. 그 언어가 있고 그 언어로 이야기를 들려주는 연주자가 있고 또 청중이 있다.


음악이 없다면 장님들이 외로웠을 것이고 그림이 없다면 귀머거리들이 외로웠을 것이다. 그 언어는 눈 멀고 귀 먹고 말 못하는 헬렌 켈러들을 위한 특별한 언어다. 그 언어는 단어를 조직하여 만들어지지 않고 인생을 조직하여 만들어진다.


완전할 때 통한다. 완전하다는 것은 그 세계의 톱포지션을 차지함이다. 톱포지션은 전지전능한 이의 포지션이다. 소설의 작중 화자가 가지는 포지션이다. 작가는 다 알고 있으니까. 작가의 입장에서 불가능은 있을 수 없으니까.


톱포지션을 차지하지 못하면 연주할 수 없다. 작가가 될 수 없다. 그 언어로 이야기를 들려줄 수 없다. 천상천하 유아독존이 아니면 안 된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자세가 아니면 안 된다.


통함이 있다. 연주자와 연주자는 체험의 공유로 통하고, 연주자와 청중은 감성으로 통한다. 귀 없고 눈 없고 입 없어도 깨달음의 감성이 있으면 통한다. 다만 깨달았느냐 못깨달았느냐 수준에 붙잡혀 있으면 가망없다. 


이 사이트는 내일 문닫아도 상관없다. 단지 한 명의 진짜를 구할 뿐이다. 아제님은 다섯이면 충분하다 했는데 이 넓은 세상에 설마 다섯이 없겠는가? 어설프게 주워들은 금강경 지식으로 거울닦으실 분들은 배척이다.


‘나는 바보다’ ≪- 이런 소리 하실 분들은 번지수 잘못 짚었으니 제발 얼쩡거리지 마시길. 아니면 닥치고 연주나 즐기면서 감성을 키워보시든지. 바보들은 환영하지 않는다.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면서 화내기도 반복되면 지겹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36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272
1452 윤석열 호남죽이기 유탄 맞은 잼버리 1 김동렬 2023-08-06 3404
1451 세상을 바꾸는 자 1 김동렬 2019-08-26 3404
1450 춘추필법으로 출발하라 1 김동렬 2019-05-28 3403
1449 젤렌스키 윤석열 image 1 김동렬 2022-02-24 3402
1448 한강 의대생의 죽음 김동렬 2021-05-09 3402
1447 우주의 제 1 원리 만유척력 김동렬 2021-02-04 3401
1446 세상이 어떤 원리로 돌아가는가? 1 김동렬 2020-06-11 3401
1445 종교와 대안 3 김동렬 2021-12-27 3400
1444 공자의 술이부작과 온고지신 1 김동렬 2020-07-14 3400
1443 철학은 잔인하다 김동렬 2020-05-02 3400
1442 대의명분 윤서방 김동렬 2021-12-19 3399
1441 볼츠만과 칸토어의 죽음 1 김동렬 2019-06-19 3399
1440 정동과 반동 김동렬 2021-01-19 3398
1439 방향성의 이해 김동렬 2018-09-27 3398
1438 박영선 서울시장은 아니다 김동렬 2020-11-16 3397
1437 의리는 결속이다 1 김동렬 2018-10-25 3397
1436 부끄러움을 모르는 한국인들 image 김동렬 2022-02-20 3396
1435 인류는 은하계의 대표자다 1 김동렬 2019-09-02 3396
1434 엔트로피와 진화론 1 김동렬 2021-07-13 3393
1433 통제가능성이 답이다 1 김동렬 2019-10-01 3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