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857 vote 0 2008.01.22 (00:39:06)

   

결정하기와 진행하기

컵에 돌과 자갈과 모래와 물을 고루 채운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큰 돌을 넣고 다음 크기 순서대로 자갈과 모래를 넣고 마지막에 물을 채우는 것이 바른 방법이다. 빈틈없이 채워넣을 수 있다. 그것이 구조다.

세상은 구조로 되어 있다. 누구도 이 말을 부정하지 않더라. 구조가 일상적으로 많은 도움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당신이 무엇을 원하든, 또 당신이 어떤 문제에 부닥쳐 있든 상관없이 구조는 구체적인 문제의 해법을 알려준다.  

맞닥들인 문제 앞에서 당신의 대응은 어떤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정은 당신의 나아갈 길에 대한 결정이다. 두 갈래 길이 있다면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까? 어느 길로 가야 할까? 구조는 그 길을 결정하기다.

구조의 대의는 ‘그 길은 본래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당신이 임의로 바꿀 수 없다. 그릇에 돌과 자갈과 모래를 담는다면 크기 순으로 담아야 한다. 그 역의 방법은 원초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결단코 그러하다.

정답이 정해져 있다. 반드시 그것을 선택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실패하고 만다. 그 경우 당신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당신의 결정은 잘못된 결정이 된다. 구조를 따르지 않으면 안 된다.

구조가 있어서 정답을 알려준다. 그러므로 결정할 수 있다. 맞닥들인 문제 앞에서 지금 당장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답을 알려준다. 두 갈래 길 중에서 어느 쪽 길을 선택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구조를 알지 않으면 안 된다.

구조의 일방향성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는 상황이 있다. 이쪽과 저쪽이 있다. 이쪽에서 저쪽으로 건너갈 수는 있는데, 반대로 저쪽에서 이쪽으로 되돌아올 수는 없는 경우가 있다. 바로 그것이 구조다.

당신은 언제라도 이쪽에서 출발하여 저쪽으로 가는 길을 선택해야 한다. 이쪽에서 저쪽은 가능한데 저쪽에서 이쪽은 불가능하다는 것, 언제라도 일방향으로의 전개만 가능하다는 것, 바로 그것이 구조다.

역방향 진행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왜 불가능한가? 무에서 유가 생겨날 수는 없으므로 불가능하다. 아르키메데스가 다시 돌아와도 받침점 없이는 지구를 들 수 없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작은 그릇에 큰 그릇을 담을 수 없으므로 불가능하다. 활 없이는 화살을 쏘아보낼 수 없으므로 불가능하다. 한번 엎어진 물은 주워담을 수 없으므로 불가능하다. 세상에는 애초에 가능한 길이 있고 원초적으로 불가능한 길이 있다.

당신은 두갈래 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 그 그릇에 고루 채워넣되 돌과 자갈을 먼저 넣은 다음 모래와 물의 순서로 넣어야 한다. 그래야만 성공한다. 그렇게 결정해야 한다. 그것이 구조다.

구조원리에 따라 길은 정해져 있다. 정답은 정해져 있다. 당신이 어떤 문제에 부닥쳐 있든 정해져 있는 길을 따라 일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그래야 문제가 해결된다. 처음부터 길을 알고 가는 것, 바로 그것이 구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19
5681 김영희 대기자의 커밍아웃 김동렬 2004-04-22 14714
5680 Re..고통의 본질은 김동렬 2002-10-16 14714
5679 인간이 모르는 인간의 비밀 image 1 김동렬 2017-09-20 14713
5678 청와대 민정차석이 누구야? image 김동렬 2003-06-23 14711
5677 사실여부가 의심되는 신문기사(유머) image 뉴스펌 2003-06-13 14708
5676 10년만에 재점화된 부재자 투표 운동을 보며 (부재자투표 운동 탄생 야사와 감회) SkyNomad 2002-12-13 14707
5675 창의하는 방법 image 10 김동렬 2017-04-13 14706
5674 누가 추미애의원을 울게 하는가? image 김동렬 2002-11-09 14706
5673 축구, 월드컵, 한국인 김동렬 2006-07-04 14701
5672 변희재의 궤변과 서프라이즈 스피릿 2003-04-18 14701
5671 알거 다 알기 1 김동렬 2009-11-26 14696
5670 시화호에서 발견된 수리부엉이 image 김동렬 2002-10-01 14696
5669 양자구조론 1 김동렬 2009-09-07 14694
5668 전여옥의 염장지르기 image 김동렬 2004-03-16 14686
5667 김경재, 좀 살자 이 화상아 김동렬 2004-03-07 14685
5666 [한국일보 시론] 호주제는 위헌이다 김동렬 2003-05-09 14685
5665 대중은 참여를 원한다 김동렬 2003-07-16 14684
5664 열심히 배신한 당신 떠나라! image 김동렬 2003-11-05 14683
5663 추억의 하이텔이 영업을 재개했군여. 김동렬 2003-06-18 14682
5662 마이너스가 좋다. 3 김동렬 2011-07-19 14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