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병자호란만큼 우리 역사에 치욕적인 전쟁이 또 있을까?

 

임진왜란 끝난지 3-40년 밖에 안지났고,  이미 일본의 조총술을 충분히 연마했을 시간인데...

이괄의 난(1624년)때 제일 억울하게 죽은 이들이 바로 임진왜란 때 항복한 왜군들 중 일부였던 130명의 항왜군이었다.

몽고의 침입때도  기병들한테 그렇게 당하고 나서도 대책이 없었나?

기병의 탁월함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2/01/29/6870844.html?cloc=nnc

http://blog.naver.com/jdyi8589?Redirect=Log&logNo=70129985657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1.29 (15:34:41)

조총 4만정? 믿기 어렵소.

조선왕조 후기 내내 청나라가 조총 몇 천정을 요구하곤 해서

조선의 가장 중대한 문제로 되었는데(조선의 국방력을 약화시킬 목적)

4만정의 조총이 있다니 아마 기록의 오류일 것이오.

 

그리고 왜군도 조총은 선두에 세우고 조총만으로 싸우는 바보는 지구에 없소.

왜군의 주력은 긴 창이오.

조총으로는 기병을 잡고 창으로 싸우는 것이오.

아마 기록의 착오일테고 쌍령전투에 패한 이유는 전투경험 부족이오.

4만정의 조총이 있다면 추가로 몇 만정 더 있을 건데

한번 전투에 져도 다음에 이기면 되지 뭐가 걱정이오?

기병은 절대 조총을 이길 수 없소.

쌍령전투는 전쟁 초반에 전투경험 없는 군대가 흔히 일으키는 현상일 뿐이오.

초반에는 소수의 선발대를 보내서 여러합을 겨뤄보고

본진이 출동하는 것이 상식인데 이런 엉터리 전투는 상식이하의 전투이고

고금에 이런 바보전투는 매우 많았소.

한번 지는게 문제가 아니라 그 다음의 대책이 없었는 것이 진짜 문제이오.

 

기병이 강하다?

천만에.

 

바보들은 무슨 짓을 해도 집니다.
조총이 기병에 진다면 효종은 뭘 믿고 북벌을 계획했겠소?

일본도 조총을 도입하고 수십년이 지나서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본격적으로 활용되었소?

일본은 바보라서 조총을 활용하지 않고 나뒀겠소?

 

다케다 신겐이 기병으로 조총부대를 쉽게 이겼는건 알려진 이야기.

그러나 한번 조총이 기병을 이기고 난 다음부터는 어떤 기병도 조총을 이길 수 없었다는 것도 알려진 이야기.

그 차이를 모르겠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1.29 (23:29:01)

조총 4만정은 전혀 근거없는 엉터리고 (임진왜란 관련기록도 엉터리가 많습니다. 예컨대 2차 진주성에서 민관 6만이 있었다면 안졌죠. 패배의 규모를 부풀린 예는 매우 많습니다.) 4만은 총 병력규모를 말한 거고, 당일 실전에 투입된 군세는 8천정도, 그 중에 일부가 조총을 가졌겠지요. 당시 투입된 속오군은 전혀 훈련되지 않은 농민군이었습니다. 엉터리 전투입니다. 조총은 고도의 숙달된 병사만 다룰 수 있는건데 훈련된 4만 조총병이 있었다면 세계를 다 정복하고 남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112 우리는 만났는가 2 배태현 2016-10-14 1925
1111 영월모임 재공지 image 16 김동렬 2016-10-14 2359
1110 구조 해설. 2 systema 2016-10-16 1894
1109 aosabook 1 눈마 2016-10-16 1794
1108 한글은, 조선 민중들이 당시 지배자들로 부터 뺏어낸 겁니다. 1 해안 2016-10-16 2434
1107 네이버 랩 번역기 베타 11 챠우 2016-10-17 4123
1106 근혜어법 분석 image 챠우 2016-10-19 2419
1105 토요 독서모임 장소 변경 사전 공지 3 챠우 2016-10-19 1968
1104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4 ahmoo 2016-10-20 1893
1103 '아이' 박근혜 5 배태현 2016-10-20 3618
1102 분노합니다... 다원이 2016-10-24 2189
1101 상담에 대해서 구조적으로 풀이해봤습니다. 암흑이 2016-10-26 1936
1100 토요 구조론 독서회 후기 image 3 윤:D 2016-10-26 1896
1099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6-10-27 1681
1098 라젠카 세이브 어스 image 3 락에이지 2016-10-28 4182
1097 스스로 "하야" 하라 !! 해안 2016-10-28 1982
1096 토요 독서모임 장소 변경 사전 공지 2 챠우 2016-10-28 1804
1095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를 보고 떠오른 교육단상 1 이상우 2016-10-29 2147
1094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10-29 1658
1093 이 와중에도 하던 일 계속하는... image 텡그리 2016-10-29 1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