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789 vote 0 2007.12.21 (19:41:00)

  왜 철학하는가?

인생에 한번 쯤 역사의 무게를 혼자 짊어지게 되는 때가 있다. 전태일처럼, 이한열처럼, 백범처럼, 장준하처럼, 김대중처럼, 노무현처럼.

혹은 그 현장의 목격자가 되는 수가 있다. 그 전태일을, 그 이한열을, 그 백범을, 그 장준하를, 그 김대중을, 그 노무현을 증언해야 한다.

용기있게 폭로할 것인가 비겁하게 숨길 것인가? 고독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애절한 눈빛으로 주위를 둘러보지만 누구도 나서서 도와주지 않는다.

나의 증언이 옳다는 믿음이 있지만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다. 만약 그 빛 나는 한 순간이 없다면, 내 인생에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나는 참 헛살은 것이다.

그 결단의 순간에 빌라도처럼 회피하지 않고, 헤롯왕처럼 발뺌하지 않고, 베드로처럼 부인하지 않고, 예수처럼 결단하기 위해서 당신에게 철학이 필요하다.

철학은 전체를 보는 것이다. 정상에서 전모를 보기다. 그 운명의 한 순간에 그 정상에서는 신과, 진리와, 인류와, 역사와, 문명의 차원에서 판단해야 한다. 그것이 철학이다.

그러므로 철학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결단해야 할 때 결단하기 위하여. 증언해야 할 때 증언하기 위하여. 일생을 후회 속에서 번민하지 않기 위하여.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25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552
846 관측을 관측하라 김동렬 2021-03-12 2767
845 힘의 이해 김동렬 2022-01-18 2766
844 잘 사는 방법 김동렬 2022-04-13 2765
843 구조론의 가르침 김동렬 2022-02-01 2764
842 강체 유체 강체 김동렬 2021-11-16 2764
841 윤영조와 한사도 김동렬 2024-01-22 2763
840 인간의 비극 1 김동렬 2022-02-06 2763
839 방향성의 이해 5 김동렬 2022-06-08 2762
838 질문과 답변 1 김동렬 2022-03-16 2759
837 브루투스의 배신공식 김동렬 2022-02-14 2758
836 구조론은 엘리트주의다 1 김동렬 2020-08-23 2757
835 어리석은 마르크스 김동렬 2022-09-20 2756
834 미국이 전쟁에 지는 이유 김동렬 2022-02-17 2755
833 공리주의와 구조론 김동렬 2021-02-03 2755
832 지구는 둥글다 김동렬 2022-02-05 2752
831 과학과 주술 김동렬 2022-01-31 2752
830 진화론의 진화 김동렬 2021-03-27 2752
829 방향성의 판단 5 김동렬 2020-02-23 2752
828 인생의 의미 김동렬 2022-04-01 2749
827 목줄에 묶인 개 김동렬 2022-03-06 2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