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세
read 3946 vote 0 2012.01.22 (20:31:08)

전송됨 : 트위터

"기존엔 뇌와 신체에서 경험이 시작된다는 연구 결과가 지배했는데 최근엔 경험이 뇌와 신체를 만든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다"


뇌와 신체에서 경험이 시작된다---- 입자적 사고

경험이 뇌와 신체를 만든다---- 질적 사고


여기에서의 경험이란 결국 환경(여기에서의 환경은 자신의 신체도 포함)과 인간의 상호작용임. 

이제 과학자들도 상호작용에 주목하기 시작함. 

옛날엔 입자적 사고방식으로 인간 뇌의 특정 지점이 특정한 경험과 연관되어 있을 거라 생각하고 그 지점을 찾아 fMRI도 찍고 별짓다함. 그러나 들인 노력에 비해 나오는 정보는 허접함.


뇌의 이러저러한 부위가 이러저러한 기능을 담당한다 끝. 

어쩌라고?

허무하다. 


이젠 인간 경험이 뇌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를 연구함. 

경험이 어떻게 현재의 뇌와 신체를 만드는 지를 연구함. 

구조론적으로 보면 방향성을 제대로 잡은듯함.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1.22 (20:43:15)

뇌가 하나의 열린 생태계라는 점을 이해해야 하오.

뇌는 뇌 바깥과 뇌 안에 엉성하게 걸쳐져 있소. 경계는 불명하오.

뇌 바깥에서의 신호를 복제해서 뇌 안에 동일한 쌍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뇌는 발달하는 것이오.

그러므로 뇌 안에 주입하려는 교육은 실패이오.

뇌는 그릇이 아니라 거울이오.

그 차이를 알아야 참교육은 성공할 수 있소.

 

- 그릇.. 조낸 담는다.

- 거울.. 하나가 들어올 때 하나가 나가야 한다.  잘 반응해야 한다.

[레벨:15]오세

2012.01.22 (20:57:43)

전송됨 : 트위터

갑자기 성경말씀이 생각나는구려. 

완전한 것이 오면 불완전한 것은 사라지리라. 

[레벨:6]sus4

2012.01.23 (02:08:28)

60억 인류의 뇌는 원래 하나죠 ㅎㅎ

친구의 뇌는 나의 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52
1767 인과는 하나다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1-10-05 3725
1766 15개월 아기도 공정성 판단? 2 김동렬 2011-10-11 5363
1765 스티브 잡스와 <나는 꼼수다>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16 5430
1764 커피의 구조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1-10-25 4466
1763 나쁜 카드를 선택하라. 2 김동렬 2011-10-31 3855
1762 사람이 되고 싶은 난초 image 4 김동렬 2011-11-18 10641
1761 다섯 개의 질문 6 김동렬 2011-11-28 3612
1760 디자인과 파인아트의 차이 5 양을 쫓는 모험 2011-11-30 4002
1759 소년탐정 김전일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1-12-04 4837
1758 옛강론 다시보기 - 딴지일보 예측 돋음 솔숲길 2011-12-05 4466
1757 세종대왕은 골프를 쳤을까? image 10 김동렬 2011-12-06 8789
1756 구조론부흥대성회 image 17 양을 쫓는 모험 2011-12-13 6758
1755 한 해가 저문다, 음악이나 듣자 image 11 ahmoo 2011-12-21 9137
1754 손톱 발톱 모래톱 image 3 김동렬 2012-01-03 5298
1753 두더지의 눈 image 1 김동렬 2012-01-04 8541
1752 쫄지 말아야 진보다. 1 김동렬 2012-01-05 4280
1751 과학자들의 집단 정신병 image 2 김동렬 2012-01-05 4826
1750 유전자가 결정한다. 7 김동렬 2012-01-16 4788
» 뇌과학의 진화 3 오세 2012-01-22 3946
1748 구조론으로 본 역사관 1. 현재주의 vs 역사주의 3 오세 2012-01-26 6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