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427 vote 1 2007.11.05 (17:56:08)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


세상의 모든 존재는 주어+동사다. 주어에 주목하면 동사(형용사)로 표현되고 동어반복의 오류에 빠진다. 반면 동사에 주목하면 관계가 보인다. 관계는 메커니즘이고 이는 명사로 표현된다.


바람이 불다. ‘불다’를 명사로 바꾸면 ‘불음’이 된다. 불음이 바람이다. 바람과 불다는 명사냐 동사냐일 뿐 본질에서 같다. 바람에 주목하면 불다에 도달하고 끝난다. 불음에 주목하면 밀도차 곧 기압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다. 


입으로 바람을 불어본다. 입속이 입 바깥보다 공기의 밀도가 높다. 기압의 차이에 의해서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동역학적 메커니즘이 발견된다. ‘~이면 ~이다’를 충족하는 방정식의 확립이다.


비로소 답을 찾았다. 가만이 관찰해 보면 세상의 모든 법칙이 결국 이와 같은 한 가지 패턴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세상의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발췌)

***.. 제가 얻어낸 모든 지혜는 이 하나의 방법에서 나온 것이오. 나는 이것을 초등학교 4학년때 고안해서 이후로 무수히 써먹고 있소. 이 내용은 아래 구조론의 착상에 추가한 부분이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920 구조론과 깨달음 김동렬 2008-08-27 11840
1919 구조론 개념도 image 김동렬 2008-08-25 19394
1918 구조주의 양자론 김동렬 2008-08-19 10401
1917 예술의 본질 김동렬 2008-08-14 18303
1916 깨달음은 언제 소용되는가? 김동렬 2008-08-05 16069
1915 깨달음은 쉬운가? 김동렬 2008-08-04 12463
1914 모든 것을 설명하는 이론 김동렬 2008-07-19 14820
1913 다섯 가지 구조 김동렬 2008-07-18 13290
1912 극한의 법칙 김동렬 2008-07-08 15731
1911 구조론 개념도 김동렬 2008-07-05 10690
1910 상식의 고정관념을 깨라 김동렬 2008-07-01 12723
1909 구조주의 역사 김동렬 2008-06-25 12046
1908 구조는 대상을 통제한다 김동렬 2008-06-20 14538
1907 예견할 수 있다 김동렬 2008-06-19 15055
1906 구조주의 논리학 김동렬 2008-06-18 9249
1905 역설의 논리학 김동렬 2008-06-16 14808
1904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6-11 11552
1903 구조론의 가치는? 김동렬 2008-06-07 10556
1902 예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23 11155
1901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20 1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