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433 vote 1 2007.11.05 (17:56:08)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


세상의 모든 존재는 주어+동사다. 주어에 주목하면 동사(형용사)로 표현되고 동어반복의 오류에 빠진다. 반면 동사에 주목하면 관계가 보인다. 관계는 메커니즘이고 이는 명사로 표현된다.


바람이 불다. ‘불다’를 명사로 바꾸면 ‘불음’이 된다. 불음이 바람이다. 바람과 불다는 명사냐 동사냐일 뿐 본질에서 같다. 바람에 주목하면 불다에 도달하고 끝난다. 불음에 주목하면 밀도차 곧 기압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다. 


입으로 바람을 불어본다. 입속이 입 바깥보다 공기의 밀도가 높다. 기압의 차이에 의해서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동역학적 메커니즘이 발견된다. ‘~이면 ~이다’를 충족하는 방정식의 확립이다.


비로소 답을 찾았다. 가만이 관찰해 보면 세상의 모든 법칙이 결국 이와 같은 한 가지 패턴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세상의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발췌)

***.. 제가 얻어낸 모든 지혜는 이 하나의 방법에서 나온 것이오. 나는 이것을 초등학교 4학년때 고안해서 이후로 무수히 써먹고 있소. 이 내용은 아래 구조론의 착상에 추가한 부분이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943
6025 에너지와 권력 김동렬 2023-04-14 2686
6024 이거 아니면 저거다 2 김동렬 2022-02-11 2687
6023 방향성의 판단 5 김동렬 2020-02-23 2688
6022 구조론은 엘리트주의다 1 김동렬 2020-08-23 2689
6021 구조를 보라 김동렬 2020-12-21 2690
6020 사건의 키를 찾아라 김동렬 2023-05-11 2690
6019 현대차가 도요타를 제치는가? 김동렬 2023-07-18 2690
6018 사랑과 운명 김동렬 2023-12-25 2692
6017 신과 인간 1 김동렬 2019-12-30 2693
6016 공리주의와 구조론 김동렬 2021-02-03 2693
6015 관측을 관측하라 김동렬 2021-03-12 2693
6014 방향성의 이해 5 김동렬 2022-06-08 2693
6013 에너지의 합기원리 김동렬 2021-05-05 2694
6012 구조론의 가르침 김동렬 2022-02-01 2694
6011 인간의 비극 1 김동렬 2022-02-06 2694
6010 구조론에 대해 질문하려면 1 김동렬 2021-02-08 2695
6009 원인은 에너지의 수렴이다 김동렬 2021-05-03 2696
6008 작은수의 법칙 김동렬 2022-12-29 2696
6007 에너지 차원의 그림풀이 image 김동렬 2020-04-08 2701
6006 구조론사람의 길 2 김동렬 2020-02-03 2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