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612 vote 0 2007.10.25 (23:06:46)

구조란 무엇인가?

어원으로 보면 구조(構造)의 구(構)는 목재를 정(井)자 모양으로 켜켜이 쌓아올린 것이고 조(造)는 짓는다, 일의 시작을 알려서 진행한다는 뜻이 있다. 즉 구조는 켜켜이 쌓아서 짓는 것이다. 하나씩 쌓아가면서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쌓을 수 있느냐’가 문제로 된다. 원자론에서 원자의 의미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다는 것이다. 왜 쪼갠다는 개념이 문제로 되는가? 만약 쪼개진다면 쌓을 수 없다. 쌓아올린 건축이 무너지지 않는 것은 쪼개지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쪼개지지 않는다면 그래도 역시 쌓을 수 없다. 큰 바위나 큰 나무로 집을 지을 수 없다. 작은 벽돌이나 작은 서까래로 잘라야 쌓을 수 있다. 쪼개져도 쌓을 수 없고 쪼개지지 않아도 쌓을 수 없다.

그러므로 구조란 쪼개지면서도 동시에 쪼개지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그래야 쌓을 수 있다. 그렇다. 세상은 쪼개지면서도 동시에 쪼개지지 않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것이 구조다.

그것은 무엇인가? 쪼개지지 않는 것은 존재의 비반복성, 비순환성, 불연속성, 비가역성, 비분할성이다. 쪼개지는 것은 반복성, 연속성, 순환성, 가역성, 분할성이다. 이것이 구조의 두 가지 성질이다.

질서(쪼개짐).. 연속성, 반복성, 분할성, 순환성, 가역성
무질서(쪼개지지 않음).. 불연속성, 비반복성, 비분할성, 비순환성, 비가역성

쪼개지는 성질이 질서라면 쪼개지지 않는 성질이 무질서다. 각각 질량보존의 법칙과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을 성립시킨다. 쪼개지므로 우주는 자신을 건축할 재료를 조달할 수 있고 쪼개지지 않으므로 우주는 지탱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3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034
1890 국힘당 지지율의 하락 김동렬 2020-09-21 3823
1889 민주당에 반미환빠 똥들이 있다 3 김동렬 2022-11-28 3822
1888 여성의 적은 신지예다. 1 김동렬 2021-12-21 3822
1887 수학은 완전한가? 우주는 완전한가? 김동렬 2020-06-03 3821
1886 나에게는 욕망이 있다. 1 김동렬 2020-04-14 3820
1885 제 1 원리 2 김동렬 2019-06-01 3819
1884 지식의 탄생 김동렬 2021-05-31 3818
1883 자연과 권력 김동렬 2022-08-09 3817
1882 대선경마 중간평가 이재명마 앞서 김동렬 2021-08-15 3817
1881 레깅스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김동렬 2021-01-07 3817
1880 장기표와 윤석열의 멸망법칙 김동렬 2021-08-08 3816
1879 필연의 통제가능성 1 김동렬 2019-10-05 3815
1878 인생에는 규칙이 필요하다 1 김동렬 2019-06-07 3815
1877 예수 마르크스 샤르트르 까뮈 3 김동렬 2019-03-17 3815
1876 분노해야 사람이 산다. 2 김동렬 2022-10-31 3812
1875 이고반윤의 멸망학 2 김동렬 2021-09-12 3812
1874 고수는 물리학으로 이긴다 1 김동렬 2020-06-28 3812
1873 연역하는 방법 3 김동렬 2019-06-12 3812
1872 박원순, 진중권, 배현진, 류호정 2 김동렬 2020-07-14 3811
1871 배신과 의리 1 김동렬 2019-10-21 3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