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352 vote 0 2007.10.25 (23:06:46)

구조란 무엇인가?

어원으로 보면 구조(構造)의 구(構)는 목재를 정(井)자 모양으로 켜켜이 쌓아올린 것이고 조(造)는 짓는다, 일의 시작을 알려서 진행한다는 뜻이 있다. 즉 구조는 켜켜이 쌓아서 짓는 것이다. 하나씩 쌓아가면서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쌓을 수 있느냐’가 문제로 된다. 원자론에서 원자의 의미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다는 것이다. 왜 쪼갠다는 개념이 문제로 되는가? 만약 쪼개진다면 쌓을 수 없다. 쌓아올린 건축이 무너지지 않는 것은 쪼개지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쪼개지지 않는다면 그래도 역시 쌓을 수 없다. 큰 바위나 큰 나무로 집을 지을 수 없다. 작은 벽돌이나 작은 서까래로 잘라야 쌓을 수 있다. 쪼개져도 쌓을 수 없고 쪼개지지 않아도 쌓을 수 없다.

그러므로 구조란 쪼개지면서도 동시에 쪼개지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그래야 쌓을 수 있다. 그렇다. 세상은 쪼개지면서도 동시에 쪼개지지 않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것이 구조다.

그것은 무엇인가? 쪼개지지 않는 것은 존재의 비반복성, 비순환성, 불연속성, 비가역성, 비분할성이다. 쪼개지는 것은 반복성, 연속성, 순환성, 가역성, 분할성이다. 이것이 구조의 두 가지 성질이다.

질서(쪼개짐).. 연속성, 반복성, 분할성, 순환성, 가역성
무질서(쪼개지지 않음).. 불연속성, 비반복성, 비분할성, 비순환성, 비가역성

쪼개지는 성질이 질서라면 쪼개지지 않는 성질이 무질서다. 각각 질량보존의 법칙과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을 성립시킨다. 쪼개지므로 우주는 자신을 건축할 재료를 조달할 수 있고 쪼개지지 않으므로 우주는 지탱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7059
1964 탈 사회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8-02 2891
1963 공화주의와 자유주의 2 김동렬 2020-08-03 2737
1962 일본의 몰락 이유 1 김동렬 2020-08-04 3451
1961 이념의 진실 5 김동렬 2020-08-04 3159
1960 질러야 한다. 1 김동렬 2020-08-05 3105
1959 이념은 하나다. 1 김동렬 2020-08-06 2367
1958 샘 오취리의 항의 image 12 김동렬 2020-08-07 4295
1957 사회게임론 1 김동렬 2020-08-07 3012
1956 권력의 자유주의와 보상의 사회주의 1 김동렬 2020-08-09 2571
1955 저능아 진중권 2 김동렬 2020-08-10 3350
1954 사회적 자유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8-10 2505
1953 조국백서의 의미 2 김동렬 2020-08-12 3081
1952 구조론의 이해 1 김동렬 2020-08-12 2543
1951 삼국지 구조론 1 김동렬 2020-08-12 3484
1950 구조론이 5로 설명되는 이유 1 김동렬 2020-08-14 2641
1949 전광훈이 미통당 잡는다 2 김동렬 2020-08-16 3511
1948 비겁한 지식인들 1 김동렬 2020-08-17 2652
1947 기안84를 보는 눈 1 김동렬 2020-08-17 2786
1946 게임과 권력 그리고 보상 1 김동렬 2020-08-17 2649
1945 창발주의 등판 1 김동렬 2020-08-18 2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