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099 vote 0 2012.01.18 (16:33:13)

zz000.GIF

 

 

 

72052_1_sinisinisini.gif

 

[ 한 다리를 빼고 돌아야 도는 것임 ]

 

 

  ◎ 양-뛰다(점)

  ◎ 운동-걷다(선)

  ◎ 힘-돌다(각)

  ◎ 입자-서다(입체)-밸런스의 축

  ◎ 질-받다(밀도)-외력과의 상호작용


한국 만화가들의 문제는 데생이 안 되는 거라고 말한 바 있다. 허영만은 다행히 데생이 된다. 나머지 만화가들은 자세히 보면 주인공 얼굴이 기호의 집합이다. 김성모 만화는 눈썹이 다 똑같다. 사실주의가 아니다. 가짜다.

 

양영순은 데생이 된다. 진일보를 이룬 것이다. 그림이 되면 소재의 제한이 풀린다. 무궁무진한 아이디어가 나와준다. 표정만으로 다양한 심리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면 다양한 내용을 그릴 수 있다. 조석도 얼굴은 연구했다.

 

중요한 것은 만화내용과 그림체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어서 그림체가 텍스트면 만화수준이 높아질 수 없다는 거다. 이현세가 슬램덩크를 그릴 수 없는 것과 같다. 슬램덩크에 농구가 있는데 외인구단에 야구가 없다.

 

로봇에 대한 이해도 마찬가지다. 중요한건 사실주의다. 자연의 사실을 반영해야 한다. 소실점은 사실에 있기 때문이다. 만화는 데생이 되어야 하듯이, 로봇은 기본적으로 지구와의 관계를 해명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

 

그것이 소실점이다. 일본로봇 아시모는 그럴듯하게 흉내를 내지만 결정적으로 키가 작다. 키가 작으면 방향을 못 바꾼다. 어린이는 키가 작기 때문에 잘 넘어진다. 최홍만은 키가 커서 어지간해서 넘어지지 않는다.

 

길이는 시간에 비례하므로 더 많은 시간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 넉넉한 시간에 밸런스 잡는다. 이런 초보적인 시공간에 대한 이해가 안 되어 있다. 일본인들은 지구를 모른다. 지구를 모르는 사람이 로봇을 만들 수는 없다.

 

일본로봇 아시모는 숏다리라서 방향 못바꾼다. 이거 안 되면 몽땅 나가리다. 방향전환을 하려면 한 다리를 길게 뒤로 빼야 한다. 제자리걸음으로 도는 것은 안 쳐준다. 스케이트 타듯이 한 다리를 빼고 원을 그려야 한다.

 

관절은 굽히는게 목적이 아니라 지구를 때리는게 목적이다. 그 반동의 힘으로 밸런스 잡는 거다. 1단계는 뛰는 거다. 그 다음에 걸어야 한다. 결정적으로 방향을 틀어야 한다. 한 다리 빼야 한다. 롱다리라야 한다.

 

 

 


 

 

 0.JPG


64.jpg 

65.jpg

 

 

모든 존재를 지배하는 으뜸법칙은 작용반작용의 법칙이다상호작용을 해야 한다.

자전거는 달려야 그 상호작용의 결과로 균형이 잡히고, 수영은 헤엄쳐서 전진해야 물에 뜨고, 비행기는 활주로를 달려야 비로소 날아오르듯이, 로봇은 발로 땅을 굴러야 그 반작용의 되돌아오는 힘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다. 지구와의 상호작용이 먼저다.

 

방향성은 전체에서 부분이어야 한다. 자전거가 지면과 마찰하며 달리는 상호작용이 전체이고, 균형을 잡아서 똑바로 서는 것은 부분이다.

 

이는 정치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민주당의 열린경선은 전체부분의 원리와 맞다. 국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점차 리더를 찾아간다. 반면 한나라당은 미리 박근혜를 리더로 정해놓고 국민을 얻으려 한다. 부분에서 전체로 가는 것이다. 이는 정치의 역주행이다.

 

 


[레벨:15]오세

2012.01.18 (18:17:30)

전송됨 : 트위터
누가 이것좀 로봇공학자들에게 읽게했으면 좋겠네.
이거 하나면 로봇공학이 십년은 앞당겨질듯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2.01.18 (23:21:45)

누군가 '심봤다!' 할 거고

1%만 구조에 마이너스 하면 되죠^^

[레벨:15]르페

2012.01.18 (23:36:33)

로봇공학과 진화생물학을 통해 구조론이 입증될 확률이 높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3]sunbee7

2012.01.19 (15:32:21)

전송됨 : 트위터

돌고 도는 저 소녀를 보다가 흠칫 놀랍니다.

갑자기 반대방향으로 도는군요.

유심히 바라보니 소녀가 오른발을 들었다고 생각하면 우측으로 돌고

왼발을 들었다고 생각하니 좌측으로 도는군요.

즉, 내 마음대로 돌릴 수는 있는데 쉽지는 않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1.19 (15:36:33)

 

밤늦게 가면 에스컬레이터가 정지해 있지요.

정지해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빠르게 걸어올라가면 마치 에스컬레이터가 움직이는듯 해서 섬찟함.

 

눈으로 보는 것에는 많은 유드리가 있고

뇌는 슬금슬금 그 유드리를 메우고 있는듯 하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3]sunbee7

2012.01.19 (15:55:55)

전송됨 : 트위터

 

 

역에 정차하여 내가 탄 열차는 가만히 있음에도 옆열차 움직임에 화들짝 놀란 적도 있지요.

우리의 뇌 속에 새겨져 버린  정보들이라는 게 참 무섭군요.

저 소녀가 한쪽 다리들고 우측으로 도는가 보다 했지,  굳이 우측다리들고 우측으로 돈다는 생각 못했습니다.

생각해 보니 들고 있는 다리가 우측이라 여기면 우측으로 돌고, 왼다리라 여기는 순간 여지없이 좌측으로 도는군요.

 

  "왼다리 들고 우측으로 돌수는 없구나"하고 형광등 처럼 느리게 깨닫습니다.

 

휴먼로봇을 만들려면 이런 원리부터 깨달아야 하겠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587
6719 국혐 포기는 이르다 김동렬 2024-03-14 1915
6718 구조를 보는 방법 김동렬 2024-03-14 1098
6717 구조론 대강 김동렬 2024-03-13 1190
6716 교언영색 한동훈 image 김동렬 2024-03-13 1515
6715 처음의 처음 김동렬 2024-03-12 1310
6714 그림은 완성되었다. 1 김동렬 2024-03-12 1586
6713 정치란 이렇게 하는 것이란다 김동렬 2024-03-12 1523
6712 다음의 다음 김동렬 2024-03-11 1299
6711 총선이 한 달 앞이다 김동렬 2024-03-11 1608
6710 물방울이 둥근 이유 김동렬 2024-03-11 1110
6709 토리야마 아키라의 드래곤 볼 김동렬 2024-03-10 1330
6708 지구가 둥근 이유 image 김동렬 2024-03-10 1192
6707 자기 자신에게 투표하라. 김동렬 2024-03-10 1246
6706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1050
6705 마음의 전략 김동렬 2024-03-09 1249
6704 영화 파묘와 쇠말뚝 해프닝 image 김동렬 2024-03-08 1987
6703 주체적 사고 김동렬 2024-03-07 1215
6702 한동훈 패션안경의 비밀 김동렬 2024-03-07 1618
6701 직관적 사고 김동렬 2024-03-06 1428
6700 정의당의 몰락공식 김동렬 2024-03-06 1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