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9408 vote 0 2012.01.11 (17:43:20)

59.jpg

 

 

 ###

  


 

###

 

구조는 한 마디로 나침반과 시계를 결합해 놓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자이로스코프와 같다. 자이로스코프는 시소 모양의 대칭이 둘 겹쳐있다. 대칭구조 위에 또다른 대칭구조가 겹쳐서 각각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된다.

 

 

 

60.JPG

 

구조론은 이들 사이에서 질서를 해명한다. 나침반이 먼저고 시소가 나중이다. 공간이 먼저고 시간이 나중이다. 방향이 먼저고 속도는 나중이다. 상부구조가 먼저 하부구조가 나중이다. 이 우선순위만 알아도 세상의 문제는 전부 풀린다.

 

 61.JPG

 

문제는 그 상부구조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데 있다. 자이로스코프는 세차운동을 하므로 막대 끝에 직각 방향으로 서 있을 수 있다. 이때 자이로스코프가 돌아가는 반대편에서 밸런스를 잡아주는 무언가는 보이지 않는다.

 

 62.JPG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면 태양 뒤쪽 반대편에는 아무 것도 없다. 그러나 보이지 않을 뿐 중력의 밸런스로 보면 그곳에 무언가 있다. 달이 있는 쪽만 밀물이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편도 밀물이 들어오듯이 그 불균형을 보상하는 무언가는 반드시 있다. 자이로스코프는 세차운동을 통해 그 불균형을 보상한다.

 

구조체의 맞은편에서 보이지 않는 손이 잡아주고 있다. 구조론은 그 보이지 않는 손을 보는 것이다. 암흑물질처럼 보이지는 않아도 분명히 존재한다. 훈련하여 그것을 보아내는 힘을 기를 때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0.JPG


http://gujoron.com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2 (09:17:30)

모든 문제는 풀렸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2 (15:45:07)

왜냐면 문제와 답은 태어나면서 모두 결정 되었으니까요.

내 밑에도 사람이 없고 내 위에도 사람이 없다.

천상천하 유아독존이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2 (16:15:58)

어차피 인생은 혼자 가는 거니까요.

괜히 남들에게 말 걸었다가는 전쟁이 발발할 테니까요.

살다보니 뭐 이런 포지션이 되었으니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2 (16:44:08)

세상은 제 마음을 투영 했겠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2 (16:54:06)

그럼 이제는 상호 작용을 해 볼 타이밍이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2 (17:00:32)

뭐 듣고 있는 것도 상호 작용의 한 종류가 되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2 (17:20:05)

삶이 황무지니, 하는 말과 행동이 모두 황폐하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2 (21:24:57)

상부 구조는 현실에 발을 디디고 있군요.

온라인 공간이 상부 구조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착각이군요.

 

공간이 넓고 클 수록 상부 구조군요.

상부 구조에 대한 바른 인식이 필요한 거군요.

 

개인적으로 주인공과 밀접한 공간과 관계를,

상부 구조로 판단했는데 그게 역으로 생각한 게 되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3 (09:29:46)

구조론이 맞네요. 존엄이 제일 위층이 맞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3 (10:32:19)

뿌리 깊은 나무에서 세종 이도가 한글 창제 반대파에게 한 말.

"지랄하고 자빠졌네. "

나는 여기서 무슨 소리하고 자빠졌는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호롱

2012.01.13 (11:44:03)

저는 왜 여기서 이렇게 말을 하고 있어야 하는 건가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872
250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8987
2504 시간으로 완성하라 image 2 김동렬 2012-10-29 11088
2503 달이 떠오르다 image 1 김동렬 2012-10-27 10608
2502 돈오돈수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2-10-27 12740
2501 돈 찍어내면 된다. 5 김동렬 2012-10-23 11410
2500 관계의 종류 image 1 김동렬 2012-10-22 13818
2499 시의 문법 김동렬* 2012-10-21 10024
2498 약한 고리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554
2497 관계란 무엇인가 ? image 김동렬* 2012-10-21 11332
2496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630
2495 의미를 버리고 관계를 얻어라 김동렬* 2012-10-21 9411
2494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669
2493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723
2492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40
2491 삶의 인과법칙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89
2490 삶의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440
2489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24
2488 깨달음에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01
2487 깨달음의 문학 image 김동렬* 2012-10-21 8864
2486 깨달음의 족보 김동렬* 2012-10-21 8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