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6245 vote 1 2007.09.04 (17:16:17)

거짓 증언하는 자들은 ‘아는바 없다’고 한다. ‘모른다’고 하면 그 모르는 부분을 빼고 나머지 아는 부분이라도 대답하라고 추궁할 것이므로 아예 ‘아는 바 없다’고 발뺌을 하는 것이다.

알지 못하는 이유는 아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바 소(所)라 했으니 바는 장소다. 아는 바 없다는 것은 앎의 장소가 없다는 뜻이다. 앎을 저장하여 둘 창고가 없고 앎이 기대고 살 토대가 없다는 뜻이다.

앎의 정보를 저장할 파일이 없고, 그 파일을 저장할 폴더가 없고, 그 폴더를 저장할 소프트웨어가 없고, 그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OS가 없고, 그 OS를 저장할 하드웨어가 없다. 근본이 없다.

무언가 알고자 하기 이전에 먼저 ‘아는 바’를 추구해야 한다. 앎의 집부터 지어야 한다. 앎의 설계도를 먼저 얻어야 하고 앎의 나침반을 먼저 구해야 한다. 출발점으로 돌아가 앎의 기초부터 확립해야 한다.

무엇인가? 그것은 관(觀)이다. 가치관이다. 가치관으로 철학을 이룬다. 가치는 의미를 배달한다. 배달하여 동그라미를 이룬다. 가치를 배달하여 그것은 이야기다. 이미 그것을 얻고서야 비로소 알 수 있다.

눈을 떠야 한다. 관을 얻어야 한다. 시야를 열어야 한다. 먼저 그것을 얻지 못한다면 장님코끼리 만지기와 같아서 앎이 내 안에서 조직되지 않는다. 앎의 모습이 얽어지지 않는다. 앎이 내것이 되지 않는다.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알아야 하는데 내 안에서 앎의 모습이 얽어지지 않으니 하나의 앎이 열을 물어오지 않는다. 하나의 앎이 또다른 앎을 낳아내지 못한다. 앎을 통제하지 못한다. 그래서는 진짜가 아니다.   

관을 얻어야 한다. 구조로 보는 세계관을 얻어야 한다. 의미로 보고 가치로 보고 맞섬으로 보는 시야를 얻어야 한다.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 연역적 사유의 방법을 획득하여야 한다. 전지적 관점을 획득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98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125
1944 구조론 요약 김동렬 2008-11-28 14491
1943 구조론을 쓰고 김동렬 2008-11-26 13257
1942 진정한 사랑은 김동렬 2008-11-17 17255
1941 깨달음은 미학이다 김동렬 2008-11-13 15244
1940 클래식에 대한 관점 김동렬 2008-11-07 14682
1939 [초금] 지성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11-06 16101
1938 깨달음 김동렬 2008-10-29 12710
1937 일단은 완성 이단은 계속 김동렬 2008-10-23 15436
1936 김기덕의 비몽 image 김동렬 2008-10-17 16798
1935 강마에의 호통이 필요한 이유 김동렬 2008-10-14 16473
1934 어떤 방문자 김동렬 2008-10-13 16920
1933 신과 나 김동렬 2008-10-05 15371
1932 스승과 제자 김동렬 2008-10-02 15194
1931 구조론의 세계로 들어가기 김동렬 2008-09-30 15040
1930 구조론의 가는 길 김동렬 2008-09-26 14948
1929 미국의 부도 김동렬 2008-09-22 16407
1928 신과 나 그리고 세계인격 김동렬 2008-09-20 13052
1927 사랑의 구조 김동렬 2008-09-12 15384
1926 기독교도는 왜 사랑하지 않을까? 김동렬 2008-09-09 16229
1925 깨달음은 의사소통 수단이다 김동렬 2008-09-08 15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