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6243 vote 1 2007.09.04 (17:16:17)

거짓 증언하는 자들은 ‘아는바 없다’고 한다. ‘모른다’고 하면 그 모르는 부분을 빼고 나머지 아는 부분이라도 대답하라고 추궁할 것이므로 아예 ‘아는 바 없다’고 발뺌을 하는 것이다.

알지 못하는 이유는 아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바 소(所)라 했으니 바는 장소다. 아는 바 없다는 것은 앎의 장소가 없다는 뜻이다. 앎을 저장하여 둘 창고가 없고 앎이 기대고 살 토대가 없다는 뜻이다.

앎의 정보를 저장할 파일이 없고, 그 파일을 저장할 폴더가 없고, 그 폴더를 저장할 소프트웨어가 없고, 그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OS가 없고, 그 OS를 저장할 하드웨어가 없다. 근본이 없다.

무언가 알고자 하기 이전에 먼저 ‘아는 바’를 추구해야 한다. 앎의 집부터 지어야 한다. 앎의 설계도를 먼저 얻어야 하고 앎의 나침반을 먼저 구해야 한다. 출발점으로 돌아가 앎의 기초부터 확립해야 한다.

무엇인가? 그것은 관(觀)이다. 가치관이다. 가치관으로 철학을 이룬다. 가치는 의미를 배달한다. 배달하여 동그라미를 이룬다. 가치를 배달하여 그것은 이야기다. 이미 그것을 얻고서야 비로소 알 수 있다.

눈을 떠야 한다. 관을 얻어야 한다. 시야를 열어야 한다. 먼저 그것을 얻지 못한다면 장님코끼리 만지기와 같아서 앎이 내 안에서 조직되지 않는다. 앎의 모습이 얽어지지 않는다. 앎이 내것이 되지 않는다.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알아야 하는데 내 안에서 앎의 모습이 얽어지지 않으니 하나의 앎이 열을 물어오지 않는다. 하나의 앎이 또다른 앎을 낳아내지 못한다. 앎을 통제하지 못한다. 그래서는 진짜가 아니다.   

관을 얻어야 한다. 구조로 보는 세계관을 얻어야 한다. 의미로 보고 가치로 보고 맞섬으로 보는 시야를 얻어야 한다.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 연역적 사유의 방법을 획득하여야 한다. 전지적 관점을 획득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61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662
1824 구조론은 건조한 이론이오. 김동렬 2007-09-29 12415
1823 개혁+호남은 옳은가? 김동렬 2007-09-29 14492
1822 질 입자 힘 운동 량 김동렬 2007-09-28 11705
1821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09-27 11595
1820 기독교는 무엇인가? 1 김동렬 2007-09-21 14876
1819 서프 논객들이 증발한 이유 김동렬 2007-09-20 16022
1818 그리스인처럼 사유하라 김동렬 2007-09-19 11996
1817 왜 지금 전여옥이 문제인가? 김동렬 2007-09-17 15988
1816 내가 유시민을 지지하는 이유 김동렬 2007-09-15 15946
1815 무리한 단일화 압박 옳지 않다. 김동렬 2007-09-14 15485
1814 질문과 답변 김동렬 2007-09-13 13182
1813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09-13 11342
1812 노무현 대통령은 왜? 김동렬 2007-09-13 16679
1811 학문의 역사를 내면서 김동렬 2007-09-11 16673
1810 우리들의 대한민국이 어쩌다 이모양입니까? 김동렬 2007-09-10 18219
1809 유시민과 멧돼지가 골프를 치면 김동렬 2007-09-05 15588
1808 민노당이 사는 법 김동렬 2007-09-04 14505
» 알지 못하는 이유는 김동렬 2007-09-04 16243
1806 기독교의 인과응보 김동렬 2007-08-31 16334
1805 마지막 말 김동렬 2007-08-30 17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