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6121 vote 1 2007.09.04 (17:16:17)

거짓 증언하는 자들은 ‘아는바 없다’고 한다. ‘모른다’고 하면 그 모르는 부분을 빼고 나머지 아는 부분이라도 대답하라고 추궁할 것이므로 아예 ‘아는 바 없다’고 발뺌을 하는 것이다.

알지 못하는 이유는 아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바 소(所)라 했으니 바는 장소다. 아는 바 없다는 것은 앎의 장소가 없다는 뜻이다. 앎을 저장하여 둘 창고가 없고 앎이 기대고 살 토대가 없다는 뜻이다.

앎의 정보를 저장할 파일이 없고, 그 파일을 저장할 폴더가 없고, 그 폴더를 저장할 소프트웨어가 없고, 그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OS가 없고, 그 OS를 저장할 하드웨어가 없다. 근본이 없다.

무언가 알고자 하기 이전에 먼저 ‘아는 바’를 추구해야 한다. 앎의 집부터 지어야 한다. 앎의 설계도를 먼저 얻어야 하고 앎의 나침반을 먼저 구해야 한다. 출발점으로 돌아가 앎의 기초부터 확립해야 한다.

무엇인가? 그것은 관(觀)이다. 가치관이다. 가치관으로 철학을 이룬다. 가치는 의미를 배달한다. 배달하여 동그라미를 이룬다. 가치를 배달하여 그것은 이야기다. 이미 그것을 얻고서야 비로소 알 수 있다.

눈을 떠야 한다. 관을 얻어야 한다. 시야를 열어야 한다. 먼저 그것을 얻지 못한다면 장님코끼리 만지기와 같아서 앎이 내 안에서 조직되지 않는다. 앎의 모습이 얽어지지 않는다. 앎이 내것이 되지 않는다.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알아야 하는데 내 안에서 앎의 모습이 얽어지지 않으니 하나의 앎이 열을 물어오지 않는다. 하나의 앎이 또다른 앎을 낳아내지 못한다. 앎을 통제하지 못한다. 그래서는 진짜가 아니다.   

관을 얻어야 한다. 구조로 보는 세계관을 얻어야 한다. 의미로 보고 가치로 보고 맞섬으로 보는 시야를 얻어야 한다.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 연역적 사유의 방법을 획득하여야 한다. 전지적 관점을 획득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880 아래에 추가 김동렬 2008-02-23 13427
1879 달마실이 가는 길 김동렬 2008-02-20 10775
1878 세 가지 깨달음에 대해 김동렬 2008-02-20 14092
1877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08-02-19 13782
1876 구조론 총론 김동렬 2008-02-13 12104
1875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2-10 16103
1874 소통의 부재 김동렬 2008-02-06 14954
1873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김동렬 2008-02-02 16458
1872 미라이 공업의 경우 김동렬 2008-02-01 16778
1871 글쓰기와 글읽기 김동렬 2008-01-31 13382
1870 깨달음 세상 사람들 김동렬 2008-01-28 14305
1869 부조리에 대해서 김동렬 2008-01-27 13161
1868 구조의 대개 김동렬 2008-01-24 10591
1867 구조의 일방향성 김동렬 2008-01-22 14823
1866 진짜는 이런 것 김동렬 2008-01-22 13652
1865 구조는 목이다 김동렬 2008-01-18 11344
1864 작용(作用), action 김동렬 2008-01-16 14215
1863 깨달음을 권하며 3 김동렬 2008-01-15 13089
1862 깨달음을 권하며 2 김동렬 2008-01-12 14233
1861 힐러리와 텐징 image 김동렬 2008-01-11 11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