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6237 vote 1 2007.09.04 (17:16:17)

거짓 증언하는 자들은 ‘아는바 없다’고 한다. ‘모른다’고 하면 그 모르는 부분을 빼고 나머지 아는 부분이라도 대답하라고 추궁할 것이므로 아예 ‘아는 바 없다’고 발뺌을 하는 것이다.

알지 못하는 이유는 아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바 소(所)라 했으니 바는 장소다. 아는 바 없다는 것은 앎의 장소가 없다는 뜻이다. 앎을 저장하여 둘 창고가 없고 앎이 기대고 살 토대가 없다는 뜻이다.

앎의 정보를 저장할 파일이 없고, 그 파일을 저장할 폴더가 없고, 그 폴더를 저장할 소프트웨어가 없고, 그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OS가 없고, 그 OS를 저장할 하드웨어가 없다. 근본이 없다.

무언가 알고자 하기 이전에 먼저 ‘아는 바’를 추구해야 한다. 앎의 집부터 지어야 한다. 앎의 설계도를 먼저 얻어야 하고 앎의 나침반을 먼저 구해야 한다. 출발점으로 돌아가 앎의 기초부터 확립해야 한다.

무엇인가? 그것은 관(觀)이다. 가치관이다. 가치관으로 철학을 이룬다. 가치는 의미를 배달한다. 배달하여 동그라미를 이룬다. 가치를 배달하여 그것은 이야기다. 이미 그것을 얻고서야 비로소 알 수 있다.

눈을 떠야 한다. 관을 얻어야 한다. 시야를 열어야 한다. 먼저 그것을 얻지 못한다면 장님코끼리 만지기와 같아서 앎이 내 안에서 조직되지 않는다. 앎의 모습이 얽어지지 않는다. 앎이 내것이 되지 않는다.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알아야 하는데 내 안에서 앎의 모습이 얽어지지 않으니 하나의 앎이 열을 물어오지 않는다. 하나의 앎이 또다른 앎을 낳아내지 못한다. 앎을 통제하지 못한다. 그래서는 진짜가 아니다.   

관을 얻어야 한다. 구조로 보는 세계관을 얻어야 한다. 의미로 보고 가치로 보고 맞섬으로 보는 시야를 얻어야 한다.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 연역적 사유의 방법을 획득하여야 한다. 전지적 관점을 획득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87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450
563 회창옹, 광화문에? 탱글이 2002-12-06 16209
562 깨달음은 언제 소용되는가? 김동렬 2008-08-05 16212
561 노력이면 실패다 김동렬 2010-05-24 16212
560 최홍만이 귀엽다? image 6 김동렬 2011-10-13 16212
559 동재도 구경왓수 동재 2002-12-08 16214
558 버전2 한스기벤라트 2002-11-28 16217
557 기간제 여교사가 당한 아픔을 호소합니다. 김동렬 2003-04-11 16219
556 최수종과 주영훈보다 나쁜 것 김동렬 2007-08-22 16219
555 기독교도는 왜 사랑하지 않을까? 김동렬 2008-09-09 16221
554 즐거웠습니다. ^^ 논두렁깡패 2002-12-19 16224
553 왜 이회창의 당선가능성이 높다고 말하는가? 김동렬 2002-11-27 16225
552 존재론과 인식론 2 김동렬 2009-03-20 16225
551 몽! 도저히 이해가 안간다. @_@ 하늘땅 2002-12-05 16228
550 김정일은 자숙하라! 김동렬 2002-12-14 16228
549 김경재 박범진의 라디오대담 김동렬 2002-11-12 16230
» 알지 못하는 이유는 김동렬 2007-09-04 16237
547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김동렬 2007-02-04 16240
546 허준영은 버텨라 김동렬 2005-12-28 16246
545 이 틈에 부산을 공략하십시오 아다리 2002-10-17 16249
544 지만원은 솔직한 조선일보 2005-09-06 16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