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2113 vote 0 2007.07.30 (19:01:35)

[개인적인 글입니다]

세상은 둘로 되어 있다. ‘▷▷’와 ‘▷◁’다. ‘▷▷’는 질서고  ‘▷◁’는 가치다.  ‘▷▷’는 에너지고 ‘▷◁’는 정보다. ‘▷▷’는 둘이 한 방향을 보고 있고 ‘▷◁’는 둘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구조는 ‘▷◁’의 세계다. 그러나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운 지식은 모두 ‘▷▷’다. 놀랍게도 우리는 지금까지 세상의 절반만을 보고 있었던 것이다. 나머지 절반의 세계에도 이제는 눈을 떠야 한다.

‘▷▷’는 모을수록 힘이 커진다. 1+1=2가 된다. 우리가 아는 당연한 상식의 세계다. 그러나 이것이 전부일까? 진실한 것은 ‘▷◁’다. ‘▷◁’는 둘의 밸런스가 맞아야 한다. 큰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 일치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하늘과 땅, 밤과 낮, 여름과 겨울, 남자와 여자, 플러스와 마이너스는 ‘▷◁’로 되어 있다. 소통하는 것은 모두 ‘▷◁’로 되어 있다. 예쁜 것, 사랑스러운 것, 아름다운 것, 가치있는 것은 모두 ‘▷◁’로 되어 있다.

‘▷◁’의 의미는 ‘▷▷’가 모을수록 힘이 커지는 것과 달리 둘의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둘 다 함께 쓰러진다는데 있다. 부부 중에 하나가 역할을 잃으면 나머지 한쪽도 쓸모가 없어진다.

‘▷▷’는 클수록 좋고 ‘▷◁’는 밸런스가 맞을수록 좋다. 전혀 다른 두 세계가 있는 것이다. 구조론은 ‘▷◁’의 세계를 탐구한다. 마주보는 ‘▷’와 ‘◁’ 사이에 무엇이 있는가? 정보가 있다.

젓가락은 왜 젓가락 모양인가?  젓가락 ‘▷’와 손가락 ‘◁’와 마주보고 있기 때문이다. 젓가락 속에는 손가락에 대한 정보가 숨어 있다. 마찬가지로 숟가락 끝의 타원형 모양은 입술의 모양을 닮고 있다.

컵이 ⊂모양인 이유는 사람의 목구멍이 ⊃모양이기 때문이다. 둘은 마주보고 대칭된다. 컵에는 그 컵을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정보와 그 컵에 담겨지는 물에 대한 정보가 숨어 있다.

모든 관절부분, 모든 힘의 전달부분, 모든 만나고 접촉하고 소통하는 부분에는 ‘▷◁’의 원리가 숨어 있다. 세상은 온통 ‘▷◁’의 사슬이다. 꽃잎 두 장도 ‘▷◁’이고 다리의 두 교각도 ‘▷◁’이다.

‘▷◁’은 마주보고 있다. 마주보아야 이루어진다. 마주보아야 통한다. 사랑이 이루어지고 미(美)가 이루어지고 선(善)이 이루어진다. 구조론은 마주보기다. 마주보며 손 잡고 함께 일어서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6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0
4300 말을 배우자 image 김동렬 2018-01-25 12141
4299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image 7 김동렬 2011-11-10 12137
4298 대중과의 소통은 가능한가? 김동렬 2006-06-27 12136
4297 하늘에서 땅으로 image 2 김동렬 2018-02-21 12128
4296 구조론의 교육사상 image 2 김동렬 2018-01-11 12128
4295 세상은 한 방향이다 image 2 김동렬 2018-01-22 12125
4294 바람은 멈춘겁니까? 설대생 2002-10-16 12125
4293 정답은 결따라 가는 것이다. image 1 김동렬 2017-12-27 12124
4292 아래에 추가된 내용 image 김동렬 2011-12-20 12124
4291 깨달음의 구조 image 2 김동렬 2011-02-18 12124
4290 김기덕의 빈집을 본 특별한 소수인 당신을 위하여 김동렬 2004-10-18 12120
4289 구조는 짜임새다 image 김동렬 2018-01-04 12117
4288 인간은 왜 거래하는가? image 6 김동렬 2017-12-22 12115
4287 빅뱅 이전에 무슨 일이 image 1 김동렬 2017-11-04 12114
» 구조론 간단하게 김동렬 2007-07-30 12113
4285 왜 공자가 스승인가? image 2 김동렬 2017-12-22 12111
4284 돈오점수는 없다. image 9 김동렬 2012-11-06 12106
4283 선택하지 말고 대응하라 image 6 김동렬 2018-04-13 12102
4282 참다운 삶을 찾고자 한다면 image 2 김동렬 2011-12-01 12100
4281 몸철학은 사기다 image 1 김동렬 2018-03-28 12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