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2052 vote 0 2007.07.30 (19:01:35)

[개인적인 글입니다]

세상은 둘로 되어 있다. ‘▷▷’와 ‘▷◁’다. ‘▷▷’는 질서고  ‘▷◁’는 가치다.  ‘▷▷’는 에너지고 ‘▷◁’는 정보다. ‘▷▷’는 둘이 한 방향을 보고 있고 ‘▷◁’는 둘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구조는 ‘▷◁’의 세계다. 그러나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운 지식은 모두 ‘▷▷’다. 놀랍게도 우리는 지금까지 세상의 절반만을 보고 있었던 것이다. 나머지 절반의 세계에도 이제는 눈을 떠야 한다.

‘▷▷’는 모을수록 힘이 커진다. 1+1=2가 된다. 우리가 아는 당연한 상식의 세계다. 그러나 이것이 전부일까? 진실한 것은 ‘▷◁’다. ‘▷◁’는 둘의 밸런스가 맞아야 한다. 큰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 일치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하늘과 땅, 밤과 낮, 여름과 겨울, 남자와 여자, 플러스와 마이너스는 ‘▷◁’로 되어 있다. 소통하는 것은 모두 ‘▷◁’로 되어 있다. 예쁜 것, 사랑스러운 것, 아름다운 것, 가치있는 것은 모두 ‘▷◁’로 되어 있다.

‘▷◁’의 의미는 ‘▷▷’가 모을수록 힘이 커지는 것과 달리 둘의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둘 다 함께 쓰러진다는데 있다. 부부 중에 하나가 역할을 잃으면 나머지 한쪽도 쓸모가 없어진다.

‘▷▷’는 클수록 좋고 ‘▷◁’는 밸런스가 맞을수록 좋다. 전혀 다른 두 세계가 있는 것이다. 구조론은 ‘▷◁’의 세계를 탐구한다. 마주보는 ‘▷’와 ‘◁’ 사이에 무엇이 있는가? 정보가 있다.

젓가락은 왜 젓가락 모양인가?  젓가락 ‘▷’와 손가락 ‘◁’와 마주보고 있기 때문이다. 젓가락 속에는 손가락에 대한 정보가 숨어 있다. 마찬가지로 숟가락 끝의 타원형 모양은 입술의 모양을 닮고 있다.

컵이 ⊂모양인 이유는 사람의 목구멍이 ⊃모양이기 때문이다. 둘은 마주보고 대칭된다. 컵에는 그 컵을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정보와 그 컵에 담겨지는 물에 대한 정보가 숨어 있다.

모든 관절부분, 모든 힘의 전달부분, 모든 만나고 접촉하고 소통하는 부분에는 ‘▷◁’의 원리가 숨어 있다. 세상은 온통 ‘▷◁’의 사슬이다. 꽃잎 두 장도 ‘▷◁’이고 다리의 두 교각도 ‘▷◁’이다.

‘▷◁’은 마주보고 있다. 마주보아야 이루어진다. 마주보아야 통한다. 사랑이 이루어지고 미(美)가 이루어지고 선(善)이 이루어진다. 구조론은 마주보기다. 마주보며 손 잡고 함께 일어서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66
2621 의기투합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16-11-23 11937
2620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50가지 철학개념 김동렬 2007-11-28 11941
2619 진짜 이야기 image 4 김동렬 2018-02-14 11945
2618 동영상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2-12-22 11956
2617 공감과 리액션 2 김동렬 2010-10-24 11959
2616 박노자도 모르는 한국 한국인 김동렬 2003-01-13 11962
2615 엄기봉 부처님의 현신 김동렬 2007-03-29 11978
2614 에너지는 계의 통제가능성이다. image 1 김동렬 2017-10-24 11982
2613 "당신은 감시당하고 있다" 김동렬 2007-06-22 11994
2612 천정배 이 가벼운 인간아 김동렬 2006-10-30 11995
2611 자유민이 될것인가 노예가 될것인가? 김동렬 2007-06-27 11995
2610 기자들의 수준 김동렬 2006-04-06 12000
2609 마음읽기 image 9 김동렬 2010-10-25 12000
2608 얌체균형을 파훼하라 image 1 김동렬 2017-12-18 12000
2607 진보는 동원력이다 image 3 김동렬 2017-11-23 12003
2606 특별한 이야기 image 김동렬 2018-02-27 12004
2605 왜 기적이 필요한가? image 3 김동렬 2018-02-18 12005
2604 권력의 시장원리 image 김동렬 2016-11-26 12010
2603 현대성이란 무엇인가(계속) 김동렬 2007-05-17 12014
2602 대중과의 소통은 가능한가? 김동렬 2006-06-27 1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