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547 vote 0 2012.01.04 (22:48:02)

20111229051208386550460.jpg



왜 두더지는 눈이 퇴화했을까?

왜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했을까?


*** 라마르크설 - 눈을 사용하지 않아서 퇴화했다.

*** 돌연변이설 - 우연히 눈 나쁜 넘이 살아남았다.


*** 구조론의 상호작용설 - 원래 유전체계 안에 빛이 있거나 없는 환경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설의 의미는?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뇌가 쓸데없이 더 많은 자원을 가져가지 않도록 보수적인 디폴트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것이다. 한정된 자원을 뇌가 다 가져가 버리면 다른 부분은 손해잖아. 


어차피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동굴 속에서 빛도 없는데 눈이 자원을 상당히 가져가 버리면 나머지 부분에는 돌아갈 몫이 없으므로 두더지나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되도록 세팅되어 있었던 것이다. 즉 두더쥐가 땅을 파는 성질과 눈의 퇴화는 세트로 결정된 것이다. 이때 외부환경과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쪽이 많은 자원을 가져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2.01.05 (09:27:18)

퇴화란 말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퇴화가 곧 진화니까요. 퇴화랑 진화는 같은 말.

 

두더지는 눈이 나쁘다? 누구보다? 언제보다?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모든 생물이 하나의 세팅으로 되어있다는 것인지요, 아니면 모두 다른 세팅이 되어있단 말씀인지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52
430 폭력에 대한 구조론적 접근: 폭력의 자궁은 바운더리의 침해. 1 오세 2012-03-22 4079
429 모듈진화의 증거 7 김동렬 2012-03-12 4526
428 최신 심리치료 ACT, 하지만 갈 길이 아직 멀다. 2 오세 2012-03-11 4729
427 원시 언어는 존재한다. 1 오세 2012-03-11 4603
426 척추동물의 탄생? 4 김동렬 2012-03-06 4291
425 김유신묘 관련 이야기 조금 더 김동렬 2012-03-04 4965
424 모티브교육으로 가야 한다. ahmoo 2012-02-26 3985
423 구조론적 육아법 2 김동렬 2012-02-20 5291
422 기술결정론 vs 도구주의 1 오세 2012-02-12 7551
421 몸속에는 항체의 유전자를 몇 개로도 나누어 부품화해서 가지고 있다. 4 오세 2012-02-02 3939
420 구조론으로 본 역사관 1. 현재주의 vs 역사주의 3 오세 2012-01-26 6187
419 뇌과학의 진화 3 오세 2012-01-22 3950
418 유전자가 결정한다. 7 김동렬 2012-01-16 4792
417 과학자들의 집단 정신병 image 2 김동렬 2012-01-05 4831
416 쫄지 말아야 진보다. 1 김동렬 2012-01-05 4283
» 두더지의 눈 image 1 김동렬 2012-01-04 8547
414 손톱 발톱 모래톱 image 3 김동렬 2012-01-03 5300
413 한 해가 저문다, 음악이나 듣자 image 11 ahmoo 2011-12-21 9147
412 구조론부흥대성회 image 17 양을 쫓는 모험 2011-12-13 6763
411 세종대왕은 골프를 쳤을까? image 10 김동렬 2011-12-06 8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