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541 vote 0 2012.01.04 (22:48:02)

20111229051208386550460.jpg



왜 두더지는 눈이 퇴화했을까?

왜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했을까?


*** 라마르크설 - 눈을 사용하지 않아서 퇴화했다.

*** 돌연변이설 - 우연히 눈 나쁜 넘이 살아남았다.


*** 구조론의 상호작용설 - 원래 유전체계 안에 빛이 있거나 없는 환경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설의 의미는?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뇌가 쓸데없이 더 많은 자원을 가져가지 않도록 보수적인 디폴트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것이다. 한정된 자원을 뇌가 다 가져가 버리면 다른 부분은 손해잖아. 


어차피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동굴 속에서 빛도 없는데 눈이 자원을 상당히 가져가 버리면 나머지 부분에는 돌아갈 몫이 없으므로 두더지나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되도록 세팅되어 있었던 것이다. 즉 두더쥐가 땅을 파는 성질과 눈의 퇴화는 세트로 결정된 것이다. 이때 외부환경과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쪽이 많은 자원을 가져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2.01.05 (09:27:18)

퇴화란 말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퇴화가 곧 진화니까요. 퇴화랑 진화는 같은 말.

 

두더지는 눈이 나쁘다? 누구보다? 언제보다?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모든 생물이 하나의 세팅으로 되어있다는 것인지요, 아니면 모두 다른 세팅이 되어있단 말씀인지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46
2067 챗gpt와의 대화 33가지 image 1 아란도 2023-02-28 3559
2066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2-22 2560
2065 인류가 가진 단 하나의 지식 1 chow 2023-02-12 2749
2064 주최자의 관점 image SimplyRed 2023-02-10 2223
2063 구조론 동인 불금 번개 모임 image 4 이상우 2023-02-09 2255
2062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2-09 1893
2061 변이의 그나마 적절한 설명 1 chow 2023-02-01 2222
2060 거시세계의 불연속성 image 2 chow 2023-01-30 2527
2059 파인만 별 거 없네, 무한과 재규격화 6 chow 2023-01-29 2258
2058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1-25 1556
2057 박찬호와 김병현의 차이점 dksnow 2023-01-25 1823
2056 일원론의 충격 1 systema 2023-01-18 1825
2055 기술에 대해 정확히 말하기 dksnow 2023-01-16 1012
2054 냉전 이후 자본주의와 디지털 혁신 dksnow 2023-01-16 1045
2053 무한과 연속성의 차이 chow 2023-01-12 1038
2052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1-11 897
2051 수학의 기원과, 아랍 (페르시아)의 역할 image dksnow 2023-01-07 1417
2050 법과 현실의 특성에서 본 괴리, 불확정성원리 SimplyRed 2022-12-31 1608
204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2-28 1559
2048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2-14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