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2]내손님
read 3646 vote 0 2011.12.24 (17:15:28)

구조론 부흥회에서 변리사분이 한분이 계셨습니다. (아이디가 기억이 나지 않네요..)

모인 분들 모두 발표 기회를 갖게 되었고 변리사님도 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한 가지 질문을 하셧는데 이 곳에 생각을 정리해 올려 보려고 합니다. 


먼저 질문입니다. 

한 발명자가 의자를 만들었습니다. 이 의자는 통풍을 위해 (엉덩이)받침대가 망사로 되어있고,  

의자 다리 끝 부분은 바닥을 파고 들지 않게 신발형태를 갖도록 하였습니다. 


변리사는 이 발명의 특허 문건을 작성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의 청구항 이라는 부분이라고 합니다. 

청구1항    받침대 틀 + 망사 + 다리 

청구2항   1항 + 신발형태의 다리

청구3항   ....


여기서 질문입니다. 이 부분은 제 기억이라 왜곡되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  청구1항이 최선의 선택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이 보다 낳은 것(보다 넒은 범위를 갖는)이 있을 수 있지 않을까요? 

         청구 1항을 질로 본다면 어떻게 최선의 질을 찾을 수 있죠?


제가 생각한 위 질문의 의도입니다. 

구조론은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변리사의 일은 특허에 대한 청구항을 권리 범위를 최대한 갖도록 작성하는 데 있다. 

그렇다면 청구항 작성시 이를 구조론 적으로 접근한다면 명쾌하게 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예컨대 구조론을 이용한 글쓰기 처럼요.

토의 중에 이에 맞는 결론은 제대로 내리지 못한 걸로 저는 인지 했습니다.


이제 부터는 제가 생각한 부분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발명자 :  불편 -> (내부 처리) = 의자 발명

                                                 ↓

변리사 :                                  특허작성 -> (내부 처리) = 청구항1, 청구항2, 청구항3


내가 생각하는 구조론은 원입니다. 시작 - 끝, 끝이 시작 - 끝, ....

여기서 청구항들은 같은 포지션(양)에 존재합니다.  청구항들 사이에 어떠한 에너지 흐름이 없습니다. 

따라서 청구1항, 청구항 들을 질로 볼 수 없습니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계로 볼수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청구1항이 최선의 권리 범위 일까요? 

청구항 작성시 말씀하신 그 과정(내부처리)이 정답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과정들이 경험이고, 나쁜길로 간 것이 될 수도 있고, 하지 않을까요?


만약 구조론을 통해서 최선의 청구항을 알 수 있다면

그말은 구조론을 알면 사회 현상에 대해서 최선의 결론을 얻을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이 말은 오류라고 생각합니다.


구조론을 알면 방향을 안다는 것이 아닐까요? 

변리사님은 지금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족한 부분 지적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신현균

2011.12.26 (11:02:12)

당시의 문제는 질문이 잘못된데서부터 시작 되었는데,

질문이 잘못되었다고 말해준 사람은 있었으나
질문을 이렇게 바꿔서 하면 제대로 된 답변을 해주겠다고 한 사람은 없었던거죠.

 

변리사분의 질문을 수정하자면,

'현재의 포지션이 하위 레벨이란 것을 어떻게 알고 탑레벨로 올라갈 수 있는가'  또는

'현재의 포지션이 최상위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내가 틀렸다는걸 알 수 있는가'

정도가 되겠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812 모의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해주세요. image 54 냥모 2015-11-28 3653
3811 무효표 방지 캠페인 image 2 wisemo 2012-12-11 3653
3810 제주의 신화속을 거닐다 - 돌문화박물관 image 9 aprilsnow 2012-02-14 3653
3809 달의 크기 6 스마일 2012-10-24 3652
3808 홈페이지 건의 사항이 있습니다. image 4 독소 2010-04-29 3651
3807 인터넷 2 배태현 2012-12-22 3651
3806 봄도 오고 하니 이 그림 한번 보시죠!! 인사아트센타 전시작 image 4 나무그리는이 2011-03-06 3649
3805 불청객 대처방법, 여러분이라면? 8 귀족 2013-01-21 3648
3804 구조론 연구소의 새 사무실에서 첫 모임 갖습니다! image 22 ahmoo 2012-06-29 3648
3803 주위에 매달릴 철봉이 없더라. 노매드 2010-05-06 3648
3802 요리의 시작!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09-07-08 3648
» 특허 청구항에 대한 구조적 접근 1 내손님 2011-12-24 3646
3800 책이 도착 했습니다. 2 무리바람 2007-10-05 3646
3799 Asiana - Soldiers Came (군인이 왔었네) 6 락에이지 2014-05-18 3645
3798 네이버 검색에는 두가지 종류의 검색이 있다. image 이상우 2012-12-05 3645
3797 최적의 유전자조합의 셋팅이 진화의 관건이군요 1 로드샤인 2010-01-19 3645
3796 책주문 했습니다. 1 잉크만땅 2008-05-06 3642
3795 동서양의 세계관 차이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3 딱선생 2012-02-14 3639
3794 말. 글. 표. 돈. 총. ░담 2011-01-20 3639
3793 거짓말장이가 진실위원장 ?@@? image 1 꼬레아 2010-01-19 3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