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4]일반이론
read 2137 vote 0 2011.12.24 (13:13:36)

1. 이들 대부분이 다른 사람에 대한 동정심이 없는 지극히 자기중심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다.

2. 양심의 가책이라든지 죄책감을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다.

3. 그들은 재물·권력에 대해 시기심이 강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그것들을 빼앗으면서 즐거움을 느낀다. 그 대상이 형제자매라도 상관이 없다. 
 
4. 남을 매질하고, 남의 것을 도용하거나 탈취하는 일은 그들에게 있어 더 달콤한 즐거움이다. 자신이 목적한 바를 성공하면 또 다른 목적을 찾아 나선다. 다른 사람의 불행을 통해 느끼는 그들의 즐거움 찾기 행각은 멈출 줄 모른다. 그들에게 있어 사람들은 목적을 달성하는 재료일 뿐이다. 

5. 그들에게 있어 거짓말은 마치 숨을 쉬는 것과 같다. 한 가지 거짓말을 한 후에 또 다른 거짓말을 만들어낸다. 자신의 거짓말이 드러나는데 대해 두려움이 없다. 설사 거짓말이 드러난다 하더라도 좀처럼 당황하지 않는다. 그리고 태연하게 또 다른 거짓말을 만들어낸다. . 
 
6.  이들은 오히려 상대방이 혼란스러워 하는 것을 즐거워 한다. 
 
7. 심리학자인 윌리엄 히긴스(William Higgins) 박사는 “일반인의 경우 사이코패스와 협상(대화)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8.통상적으로 성인의 약 1%가 이 같은 사이코패스적(的) 성향을 띠는 것으로 분류된다. 이들의 상당수는 범죄와 연관되지 않고 사회에서 암약한다.

9. 정신 분석 전문가인 용인정신병원 강남분원 김수동 원장은 "회사나 조직에서 자기 출세나 성공을 위해 남을 무자비하게 짓누르거나 해코지하는 사람들이 그런 케이스"라며 "대형 사기를 쳐놓고도 자기는 호화 생활을 하는 사람도 일종의 사회적 사이코패스로 보면 된다
 
10. 대부분의 사이코패스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연쇄살인마가 되는 것이 아니며,  정치계나 업계의 상위 계층에 속한 사람들에도 찾아볼 수 있다

[레벨:4]일반이론

2011.12.24 (13:16:43)

구글로 검색해 본 "사이코패스"에 대한 설명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레벨:15]aprilsnow

2011.12.24 (13:50:55)

'성공'이란 무엇인가?

다른 정의가 필요하오.

 

그저 '목적하는 바를 이룬다'는 사전적 의미의 성공이란 단어로

인간이란 존재가 원하는 '성공'을 설명할수 없소.

사람들에게 '사이코패스'의 행동에 동조하고 선망하는 혼동을 부추기는

사이코패스적인 이데올로기가 있소.

생존의 위협에 시달리는 후진국일수록 이러한 가치가 창궐하오.

그러한 시대를 살아왔소.

그러니 '사이코패스'가 대통령까지 되었는지 모르겠소.

 

http://gujoron.com/xe/190673

구조론이 '인생의 성공비결'을 설명하고 있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372 우리나라 사람들이 산수를 잘 하는 이유? image 3 ahmoo 2011-12-26 2873
1371 당신이 뭘하든 마이너스다. 정청와 2011-12-26 2410
1370 감사 정청와 2011-12-26 2126
1369 구조론 모임- 정다방 프로젝트에서... image 22 아란도 2011-12-25 3705
1368 미학적이상주의-한 꽃이 피었겠네 1 정청와 2011-12-25 2247
1367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성능 비교 7 신현균 2011-12-25 2566
1366 부흥대성회 완전 부흥 3 양을 쫓는 모험 2011-12-25 2342
1365 반가웠습니다. 11 sunbee7 2011-12-24 2417
1364 특허 청구항에 대한 구조적 접근 1 내손님 2011-12-24 3653
» 누구? 2 일반이론 2011-12-24 2137
1362 밑에 양자이야기가 나와서 양자 컴퓨터..? image 카르마 2011-12-24 2593
1361 동렬님의 양자구조론 관련 질문입니다. 1 water 2011-12-24 2514
1360 정부는 조문을 전면 허용하라. 1 노매드 2011-12-24 2354
1359 동렬님 뿌리깊은 나무에서 1 불휘 2011-12-23 2378
1358 세상에서... 정청와 2011-12-23 2104
1357 왜 무언가가 있을까? 정청와 2011-12-23 2288
1356 '김광수 경제연구소'의 방향성은 어떤지요? 5 딱선생 2011-12-23 2957
1355 깨달음의 용도 2 정청와 2011-12-22 2108
1354 우리 같이 놀아요 정청와 2011-12-22 2614
1353 바람이 분다 3 정청와 2011-12-22 2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