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149 vote 0 2011.12.20 (11:39:12)

 

누구나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도 실력이 받쳐줘야 되는 거고 구조론은 포지셔닝만 잘 해도 공짜먹을 수 있다는 거다. 그러려면 애초에 방향을 잘 잡아야 한다. 역주행은 곤란하다.

 

전체적인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케미스트리다. 케미스트리가 우수해야 좋은 포지션을 차지할 수 있다. 목 좋은 자리만 차지하면 그 다음은 일사천리다. 자연의 흐름을 슬슬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

 

케미스트리가 약한 팀은 단기전을 할 수 밖에 없고 거기서 방향이 빗나가는 것이며 이후 모두 잘못되고 만다. 동학군의 좌절, 중국사에서 무수한 농민반란군이 실패, 잔다르크군의 패배가 그렇다.

 

정규군이 아니면 장기전을 못한다. 병력이 적어도 로마교범의 마인드를 가지고 엄정한 군기를 보이며 정규군처럼 장기전을 기획해야 한다. 싼 입을 놀려 당장 한 포인트 따고 싶은 욕망을 견디기다.

 

케미스트리는 인간의 내면에도 있다. 스티브 잡스와 이건희를 비교할 수 있다. 스티브 잡스가 손정의와 대화를 하면 어떨까? 서로 속 깊은 아이디어를 공유하게 된다. 거기서 고급정보가 만들어진다.

 

이건희와 대화를 한다면? 혹은 이재용이라도 마찬가지다. 검은 옷을 입고 양쪽으로 도열하여 진을 치고 있는 비서들의 모습에 질려버릴 것이다. 아마 아프리카 추장을 만나러 가는 기분이 들 것이다.

 

추장은 이렇게 말한다. ‘내 인생의 신조는 검소함이다. 그래서 부인이 40명 밖에 안 된다. 당신은 몇이냐?“ 대화는 끝났다. 케미스트리가 약한 것이다. 질이 낮은 것이고 반응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소통은 불발이다. 거기서 방향성은 결정되고 만다. 이후 모두 잘못되고 만다. 애초에 좋은 전략을 세울 수 없다. 장기전은 생각할 수 없고 당장 실적을 내는 분위기로 가게 되며 그 방법은 표절이다.

 

케미스트리가 강해야 방향을 잘 잡을 수 있다. 단결을 강조하고 정신무장을 강조한데서 될 일이 아니다. 원초적으로 자원의 질이 우수해야 한다. 반응성이 좋아야 한다. 예민하게 긴장을 잘 해야 한다.

 

명박처럼 노동자가 죽어가도 ‘뭔 상관이야?’ 하고 눈 흰자위를 드러내어 쳐다보는 자들은 케미스트리가 약한 것이다. 노숙자를 보고도 ‘저 게으럼뱅이들 보라구!’ 하며 눈살을 찌푸리는 자들 말이다.

 

그들은 반응성 떨어지는 저질이다. 반응성 좋은 양질의 자원을 확보해야 좋은 팀이 꾸려진다. 반응성을 높이려면 무엇보다 존엄을 얻어야 한다.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자기존중감이 필요하다.

 

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존엄이다. 주변과 잘 반응하는 사람이 존엄하다. 반응성이 좋다면 자연의 울부짖음도 들어야 하고, 우주의 속삭임도 들어야 하고, 신의 목소리도 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

 

 

 38.jpg

 

 

  

 35.JPG

 

 

  

 

 001030.jpg

bookorder.gif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96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592
2608 인, 지, 의, 신, 예 image 2 김동렬 2018-02-20 12107
2607 현대성이란 무엇인가(계속) 김동렬 2007-05-17 12109
2606 천정배 이 가벼운 인간아 김동렬 2006-10-30 12113
2605 마음읽기 image 9 김동렬 2010-10-25 12118
2604 권력의 시장원리 image 김동렬 2016-11-26 12119
2603 참다운 삶을 찾고자 한다면 image 2 김동렬 2011-12-01 12132
2602 모든 이야기의 어머니 이야기 image 3 김동렬 2018-02-02 12132
2601 돈오점수는 없다. image 9 김동렬 2012-11-06 12135
2600 몸철학은 사기다 image 1 김동렬 2018-03-28 12136
2599 선택하지 말고 대응하라 image 6 김동렬 2018-04-13 12143
» 아래에 추가된 내용 image 김동렬 2011-12-20 12149
2597 구조는 짜임새다 image 김동렬 2018-01-04 12150
2596 김기덕의 빈집을 본 특별한 소수인 당신을 위하여 김동렬 2004-10-18 12152
2595 마음의 탄생 image 11 김동렬 2010-10-20 12153
2594 구조론 간단하게 김동렬 2007-07-30 12154
2593 왜 공자가 스승인가? image 2 김동렬 2017-12-22 12158
2592 빅뱅 이전에 무슨 일이 image 1 김동렬 2017-11-04 12159
2591 인간은 왜 거래하는가? image 6 김동렬 2017-12-22 12163
2590 바람은 멈춘겁니까? 설대생 2002-10-16 12164
2589 하늘에서 땅으로 image 2 김동렬 2018-02-21 12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