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372 vote 0 2006.11.18 (15:26:59)


규구(規矩)는 중국 신화시대 복희씨의 발명으로 알려진 콤파스와 곱자다. 곱자는 공고 건축과 학생들이 들고 다니던 T자나 같은데 ㄱ자로 꺾여 있어서 직각을 구하는데 쓰인다.

언뜻 생각하기에 직각 구하기가 쉽지 싶지만 맨바닥에서 직각을 구하려면 반드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야 한다. 그냥 적당히 생각해서 대충 직각을 그려놓고 그걸로 대형 건물을 지으면 아주 황당한 일이 생긴다.  

규구는 목수의 상징물이다. 규구준승(規矩準繩)이라 해서 콤파스, 곡척, 수준기, 먹줄 이 네가지가 있어야 비로소 목수 노릇을 할 수 있다. 이를 줄여서 규구라고 하는 것이다.

기술이 좋아도 규구준승 이 네가지가 없으면 아무 것도 못한다. 지식만으로 안 되고 반드시 연장이 있어야만 한다. 오늘날 지식도 강단이라는 시스템 안에서 하나의 연장이 되었다.

연장이 없는 사람과는 장벽을 쌓아놓고 소통을 거부한다. 아무리 지식이 있어도 연장을 휘두르는 사람을 이길 수는 없으니 이것이 학계의 병폐다.

문제는 규범이나, 규칙이나, 규율이나, 규정이나, 규찰이나 이런 말이 다 규구에서 나온 것인데 규구를 모르면서 규칙을 알고, 규율을 알고, 규정을 알고, 규찰을 알고, 규범을 알 리가 있느냐다.  

규칙도 규율도 규정도 규찰도 규범도 법규 상규 예규도 모르는 사람과 무슨 대화를 하겠느냐는 거다. 규는 콤파스다. 콤파스는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그랗게 묶어버린다.

규칙 규율 규정 규찰 규범 법규 상규 예규는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지름의 거리에 속하게 인간들을 묶어버리는 것이다.

콤파스로 땅바닥에 동그라미를 그려놓고 그 땅바닥에 그어진 금 밖으로 나가지 말라고 하는 것이 곧 규칙이나 규율이나 규정이나 규찰이나 규범인 것이다.

이러한 본질에 대한 인식이 없이 함부로 법규를 논하고 규범을 논하고 규정을 논한들 공염불이다. 항상 그렇듯이 본질을 알아야 한다. 출발점을 알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88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736
5952 인류 최고의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김동렬 2022-07-26 3911
5951 이상은 이상하다 김동렬 2022-07-25 4377
5950 돈 키호테의 의미 김동렬 2022-07-25 3992
5949 한국의 미래는 영국인가, 중국인가? 1 김동렬 2022-07-25 3530
5948 온난화의 위기와 고통의 방정식 김동렬 2022-07-24 3620
5947 이해하기와 창의하기 1 김동렬 2022-07-24 3320
5946 천부경 팔이 천공도사 image 김동렬 2022-07-23 3994
5945 윤석열의 살 길은? 3 김동렬 2022-07-23 3798
5944 구조론의 탄생 김동렬 2022-07-22 3280
5943 조폭은 종교다 1 김동렬 2022-07-21 4153
5942 원효의 화쟁사상 5 김동렬 2022-07-19 4290
5941 김마담 대 김마담 4 김동렬 2022-07-19 4164
5940 이재명의 이기는 정치 김동렬 2022-07-18 3719
5939 윤석열의 오서방 정치 1 김동렬 2022-07-18 3389
5938 필리핀 김마담의 경우 김동렬 2022-07-17 4669
5937 지능은 질문이다 1 김동렬 2022-07-17 2697
5936 지능은 권력이다 2 김동렬 2022-07-16 2689
5935 밉상이 된 윤석열 1 김동렬 2022-07-15 3618
5934 3의 발견 김동렬 2022-07-15 2485
5933 언어의 탄생 김동렬 2022-07-14 2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