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364 vote 0 2006.11.18 (15:26:59)


규구(規矩)는 중국 신화시대 복희씨의 발명으로 알려진 콤파스와 곱자다. 곱자는 공고 건축과 학생들이 들고 다니던 T자나 같은데 ㄱ자로 꺾여 있어서 직각을 구하는데 쓰인다.

언뜻 생각하기에 직각 구하기가 쉽지 싶지만 맨바닥에서 직각을 구하려면 반드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야 한다. 그냥 적당히 생각해서 대충 직각을 그려놓고 그걸로 대형 건물을 지으면 아주 황당한 일이 생긴다.  

규구는 목수의 상징물이다. 규구준승(規矩準繩)이라 해서 콤파스, 곡척, 수준기, 먹줄 이 네가지가 있어야 비로소 목수 노릇을 할 수 있다. 이를 줄여서 규구라고 하는 것이다.

기술이 좋아도 규구준승 이 네가지가 없으면 아무 것도 못한다. 지식만으로 안 되고 반드시 연장이 있어야만 한다. 오늘날 지식도 강단이라는 시스템 안에서 하나의 연장이 되었다.

연장이 없는 사람과는 장벽을 쌓아놓고 소통을 거부한다. 아무리 지식이 있어도 연장을 휘두르는 사람을 이길 수는 없으니 이것이 학계의 병폐다.

문제는 규범이나, 규칙이나, 규율이나, 규정이나, 규찰이나 이런 말이 다 규구에서 나온 것인데 규구를 모르면서 규칙을 알고, 규율을 알고, 규정을 알고, 규찰을 알고, 규범을 알 리가 있느냐다.  

규칙도 규율도 규정도 규찰도 규범도 법규 상규 예규도 모르는 사람과 무슨 대화를 하겠느냐는 거다. 규는 콤파스다. 콤파스는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그랗게 묶어버린다.

규칙 규율 규정 규찰 규범 법규 상규 예규는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지름의 거리에 속하게 인간들을 묶어버리는 것이다.

콤파스로 땅바닥에 동그라미를 그려놓고 그 땅바닥에 그어진 금 밖으로 나가지 말라고 하는 것이 곧 규칙이나 규율이나 규정이나 규찰이나 규범인 것이다.

이러한 본질에 대한 인식이 없이 함부로 법규를 논하고 규범을 논하고 규정을 논한들 공염불이다. 항상 그렇듯이 본질을 알아야 한다. 출발점을 알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18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970
990 딕 모리스의 충고 김동렬 2003-06-19 15277
989 사람을 살려주세요. image 김동렬 2004-04-13 15280
988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image 김동렬* 2012-10-21 15282
987 한나라당 사이버 알바의 고백!(펌) 김동렬 2002-11-28 15290
986 여담으로 쓰는 글 김동렬 2005-10-04 15290
985 노무현은 언제나 옳은가? 김동렬 2002-11-11 15293
984 세 가지 전쟁 7 김동렬 2010-05-05 15294
983 이회창 리로디드 대 최병렬 레볼루션 image 김동렬 2003-10-30 15296
982 잡초들의 운명 image 김동렬 2003-05-10 15297
981 노무현이 위험하다 정지운 2002-12-26 15301
980 정대철이 제꺽 물러나기 바란다. image 김동렬 2003-07-10 15302
979 한나라당의 입큰 개구리들 image 김동렬 2003-08-23 15303
978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5-06-03 15303
977 구조론은 쉽다 김동렬 2008-11-28 15303
976 피투성이님 조선일보를 KO시키다. 김동렬 2003-01-22 15305
975 정신적 대통령 이회창 만쉐이~ image 김동렬 2003-06-29 15305
974 아무생각 없스미 image 김동렬 2003-07-19 15305
973 가치의 창출과 실현 image 김동렬 2011-07-29 15306
972 총리 후보로 이참씨를 아다리 2002-10-28 15307
971 악소리 한번 내는 전여옥 김동렬 2005-02-15 15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