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308 vote 0 2006.11.18 (15:26:59)


규구(規矩)는 중국 신화시대 복희씨의 발명으로 알려진 콤파스와 곱자다. 곱자는 공고 건축과 학생들이 들고 다니던 T자나 같은데 ㄱ자로 꺾여 있어서 직각을 구하는데 쓰인다.

언뜻 생각하기에 직각 구하기가 쉽지 싶지만 맨바닥에서 직각을 구하려면 반드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야 한다. 그냥 적당히 생각해서 대충 직각을 그려놓고 그걸로 대형 건물을 지으면 아주 황당한 일이 생긴다.  

규구는 목수의 상징물이다. 규구준승(規矩準繩)이라 해서 콤파스, 곡척, 수준기, 먹줄 이 네가지가 있어야 비로소 목수 노릇을 할 수 있다. 이를 줄여서 규구라고 하는 것이다.

기술이 좋아도 규구준승 이 네가지가 없으면 아무 것도 못한다. 지식만으로 안 되고 반드시 연장이 있어야만 한다. 오늘날 지식도 강단이라는 시스템 안에서 하나의 연장이 되었다.

연장이 없는 사람과는 장벽을 쌓아놓고 소통을 거부한다. 아무리 지식이 있어도 연장을 휘두르는 사람을 이길 수는 없으니 이것이 학계의 병폐다.

문제는 규범이나, 규칙이나, 규율이나, 규정이나, 규찰이나 이런 말이 다 규구에서 나온 것인데 규구를 모르면서 규칙을 알고, 규율을 알고, 규정을 알고, 규찰을 알고, 규범을 알 리가 있느냐다.  

규칙도 규율도 규정도 규찰도 규범도 법규 상규 예규도 모르는 사람과 무슨 대화를 하겠느냐는 거다. 규는 콤파스다. 콤파스는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그랗게 묶어버린다.

규칙 규율 규정 규찰 규범 법규 상규 예규는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지름의 거리에 속하게 인간들을 묶어버리는 것이다.

콤파스로 땅바닥에 동그라미를 그려놓고 그 땅바닥에 그어진 금 밖으로 나가지 말라고 하는 것이 곧 규칙이나 규율이나 규정이나 규찰이나 규범인 것이다.

이러한 본질에 대한 인식이 없이 함부로 법규를 논하고 규범을 논하고 규정을 논한들 공염불이다. 항상 그렇듯이 본질을 알아야 한다. 출발점을 알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610
1739 “황우석 지지는 인간의 존엄에 대한 지지다” 김동렬 2005-11-29 13912
1738 예술은 유혹이다 김동렬 2006-01-31 13913
1737 일편단심의 허실 image 1 김동렬 2012-05-21 13914
1736 정형근이에다가... 지만원이까지... 하하하! 2002-10-24 13915
1735 강금실과 케네디 김동렬 2006-04-13 13915
1734 [파병반대] 대한민국이 만만한 홍어※이냐? image 김동렬 2003-03-18 13916
1733 김홍일의 복당은 정동영효과의 후폭풍이다 image 김동렬 2004-02-01 13919
1732 창은 부러지고 근혜는 곪고 김동렬 2006-02-28 13922
1731 조직의 김근태 세력의 정동영 김동렬 2006-01-23 13923
1730 김용옥 피투성이가 되다 김동렬 2003-01-21 13926
1729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원한다. image 4 김동렬 2017-02-24 13935
1728 인생의 정답은 게임체인지 image 1 김동렬 2017-08-17 13935
1727 일해가 유죄면 정수도 유죄다 김동렬 2004-08-04 13936
1726 누가 노무현주의를 계승할 것인가? 김동렬 2005-10-31 13936
1725 안철수와 이하늘의 차이 image 1 김동렬 2011-11-19 13936
1724 오명을 창밖으로 던져버릴 수도 없고 image 김동렬 2003-03-04 13938
1723 주유소 습격사건과 괴물 김동렬 2006-08-13 13942
1722 대한민국호의 진로와 고민 김동렬 2006-08-24 13942
1721 권영길 다시 봤다. 김민성 2002-10-28 13944
1720 나이는 필요없다. image 김동렬 2017-05-17 13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