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645 vote 0 2006.06.09 (23:32:04)


세상이 어수선한 이유는 아는 사람들이 아는 것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체계(體系)를 모르기 때문이다.

세상이 혼돈스런 이유는 아는 사람들이 아는 것을 조리(條理)있게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조리(條理)를 모르기 때문이다.

조리란 무엇인가? 국어사전은 ‘앞뒤가 들어맞고 체계가 서는 갈피’로 풀이하고 있다. 조리가 있어야 체계가 선다. 조리는 체계가 서게 하는 것이다.

체계는 계 내부에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 상호간에 결합관계가 맞아떨어지는 것이 조리다.

체계 내 요소들 상호간의 결합관계가 구조(構造)다. 구조를 모르기 때문에 조리있게 설명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구조를 아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구조는 갈피들 간의 구조다. 갈피는 사물의 갈래가 구별되는 어름이다. 즉 체계의 계통이 갈라지는 부분이다. 그것은 신체나 사물의 관절과도 같다.  

하나의 체계 안에는 다섯 개의 갈피들이 숨어 있다. 그것은 체계와 평형과 구조와 전개 그리고 원소들이다.

이 갈피들 상호간의 질서를 아는 것이 조리를 아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갈피들 사이에는 어떤 질서가 숨어 있는가?

나침반의 N극과 S극을 모르면 길을 찾을 수 없다. N과 S가 갈피다. N과 S를 구분하지 못하면 나침반이 있어도 갈피를 잡을 수 없다.

존재는 구조(structure)와 체계(system)로 설명할 수 있다. 구조와 체계 사이에는 평형(equilibrium)이 있다. 평형은 쉽게 밸런스(balance)로 설명할 수 있다.

체계(體系)는 체(體)를 품은 계(系)다. 여기서 체(體)가 곧 평형이다. 계는 체(평형)를 품고 체는 구조를 품고 구조는 전개를 품고 전개는 원소를 품는다.

이렇듯 계(체계)-체(평형)-구조-전개-원소로 이어지는 흐름이 곧 계(系)다. 계는 이을 계다. 어떻게 잇는가? 체계와 평형과 구조와 전개와 원소로 잇는다.

이러한 이음새가 곧 갈피다. 오늘날 지식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혼미해져 버린 이유는 체계 내의 결합관계에 따른 정합성과 긴밀성을 모르기 때문이다.

곧 체계와 평형과 구조와 전개와 원소 사이의 질서를 모르기 때문이다. 이들 사이의 우선순위와 접근경로를 모르기 때문이다.

그 순서와 방향을 아는 것이 조리를 아는 것이다. 조리를 알아야 조리있게 인식할 수 있다. 갈피를 잡아야 구조를 알고 구조를 알아야 조리를 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737 안철수의 무식한 퀴어발언 3 김동렬 2021-02-19 3392
1736 쥴리 볼케이노 대폭발 김동렬 2021-12-01 3390
1735 의리 문재인 배신 김종인 2 김동렬 2021-02-01 3389
1734 초원사람과 숲사람 1 김동렬 2019-02-28 3387
1733 심리학에서 물리학으로 1 김동렬 2019-10-14 3386
1732 이재명 돕는 윤석열 김동렬 2021-07-05 3385
1731 이정후의 매력 1 김동렬 2020-06-26 3385
1730 서민, 안철수, 진중권 귀족의 심리 김동렬 2020-09-20 3383
1729 율곡과 퇴계 1 김동렬 2020-07-06 3383
1728 몬티홀 딜레마 1 김동렬 2020-04-20 3383
1727 진중권 패 이준석 승 3 김동렬 2021-05-29 3382
1726 사유의 표준촛불 김동렬 2021-10-01 3381
1725 핑크 플라맹고의 비극 image 2 김동렬 2019-03-15 3381
1724 믿음은 사건이다 1 김동렬 2019-04-01 3380
1723 차원의 이해 1 김동렬 2018-11-13 3380
1722 김대중의 예견 김동렬 2021-10-16 3379
1721 윤석열 가면을 벗긴 조성은 1 김동렬 2021-09-11 3378
1720 안철수의 선택 1 김동렬 2022-02-21 3377
1719 금태섭, 진중권의 독점시장 4 김동렬 2020-06-30 3377
1718 수렴과 확산 4 김동렬 2019-08-27 3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