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738 vote 0 2006.06.09 (23:32:04)


세상이 어수선한 이유는 아는 사람들이 아는 것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체계(體系)를 모르기 때문이다.

세상이 혼돈스런 이유는 아는 사람들이 아는 것을 조리(條理)있게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조리(條理)를 모르기 때문이다.

조리란 무엇인가? 국어사전은 ‘앞뒤가 들어맞고 체계가 서는 갈피’로 풀이하고 있다. 조리가 있어야 체계가 선다. 조리는 체계가 서게 하는 것이다.

체계는 계 내부에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 상호간에 결합관계가 맞아떨어지는 것이 조리다.

체계 내 요소들 상호간의 결합관계가 구조(構造)다. 구조를 모르기 때문에 조리있게 설명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구조를 아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구조는 갈피들 간의 구조다. 갈피는 사물의 갈래가 구별되는 어름이다. 즉 체계의 계통이 갈라지는 부분이다. 그것은 신체나 사물의 관절과도 같다.  

하나의 체계 안에는 다섯 개의 갈피들이 숨어 있다. 그것은 체계와 평형과 구조와 전개 그리고 원소들이다.

이 갈피들 상호간의 질서를 아는 것이 조리를 아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갈피들 사이에는 어떤 질서가 숨어 있는가?

나침반의 N극과 S극을 모르면 길을 찾을 수 없다. N과 S가 갈피다. N과 S를 구분하지 못하면 나침반이 있어도 갈피를 잡을 수 없다.

존재는 구조(structure)와 체계(system)로 설명할 수 있다. 구조와 체계 사이에는 평형(equilibrium)이 있다. 평형은 쉽게 밸런스(balance)로 설명할 수 있다.

체계(體系)는 체(體)를 품은 계(系)다. 여기서 체(體)가 곧 평형이다. 계는 체(평형)를 품고 체는 구조를 품고 구조는 전개를 품고 전개는 원소를 품는다.

이렇듯 계(체계)-체(평형)-구조-전개-원소로 이어지는 흐름이 곧 계(系)다. 계는 이을 계다. 어떻게 잇는가? 체계와 평형과 구조와 전개와 원소로 잇는다.

이러한 이음새가 곧 갈피다. 오늘날 지식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혼미해져 버린 이유는 체계 내의 결합관계에 따른 정합성과 긴밀성을 모르기 때문이다.

곧 체계와 평형과 구조와 전개와 원소 사이의 질서를 모르기 때문이다. 이들 사이의 우선순위와 접근경로를 모르기 때문이다.

그 순서와 방향을 아는 것이 조리를 아는 것이다. 조리를 알아야 조리있게 인식할 수 있다. 갈피를 잡아야 구조를 알고 구조를 알아야 조리를 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632
1246 즐기는 자가 강하다 image 김동렬 2017-10-05 14619
1245 왜 정몽준이 우리의 적인가? 김동렬 2002-10-25 14621
1244 실패한 설문조사 관우 2002-12-17 14621
1243 박근혜의 애걸 김동렬 2004-10-26 14624
1242 우주는 디지털이다. image 4 김동렬 2017-06-03 14626
1241 이 새끼들 잘 걸렸어 김동렬 2004-03-13 14629
1240 Re..그거 때문에 주가가 오르고 있으니 김동렬 2002-10-18 14630
1239 노무현은 룰라인가 클린턴인가? 김동렬 2003-06-05 14631
1238 질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9-01-20 14633
1237 대권 후보들의 올해 '운'에 김동렬 2002-11-30 14636
1236 진보의 법칙 2 김동렬 2010-01-08 14636
1235 노무현의 전략 image 김동렬 2004-03-28 14638
1234 타짜 - 유해진 가고 조승우 온다. 김동렬 2006-10-03 14642
1233 세계 대통령 노무현과 인간 이회창 아다리 2002-12-20 14646
1232 DJ신경망과 노무현 호르몬의 찰떡궁합보고서 image 김동렬 2003-07-09 14646
1231 상승한다는 것의 의미 1 김동렬 2009-12-30 14646
1230 "정녕, 죽으면 죽으리라" 시민K 2002-11-25 14649
1229 무릇 논객이라면 ‘글쓰기’와 ‘배설행위’를 구분할 줄 알아야.. 스피릿 2003-12-31 14653
1228 전작권 환수 문제는 김동렬 2006-08-17 14653
1227 스크린 쿼터 문제에 대하여 김동렬 2006-01-27 14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