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057 vote 0 2006.04.25 (22:26:08)


어떤 아저씨가.. 단단한 시멘트 벽에 대가리를 박았다. 대가리가 깨져서 피가 났는데.. 그 아저씨 하는 말씀이.. ‘시멘트 벽이 이렇게 단단한 줄 몰랐다’고 한다. 그 아저씨도 참 딱한 아저씨다.

그 아저씨는 왜 시멘트 벽에 대가리를 박았을까? 자기 자신을 인간 마루따로 삼아 생체실험을 하려고 한 것일까? 시멘트 벽을 들이받으면 대가리가 깨져서 피가 난다는 사실을 그는 과연 몰랐을까?  

어쨌든 알고 봐야 한다. 모르는 것이 자랑은 아니다. 한다. 그가 몰랐던 것은 기실 그 시멘트 벽의 단단한 정도가 아니라.. 인간이라는 존재다. 그는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해서 진작에 알았어야 했다.

인간이라는 존재가 무엇인지... 빙점(氷點)이 있다. 그 점을 넘기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생체실험 하지 말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94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553
1928 사랑의 구조 김동렬 2008-09-12 15392
1927 기독교도는 왜 사랑하지 않을까? 김동렬 2008-09-09 16240
1926 깨달음은 의사소통 수단이다 김동렬 2008-09-08 15108
1925 권정생, 이오덕, 김용택의 진정성? 김동렬 2008-09-05 16013
1924 깨달음의 구조(수정) 김동렬 2008-09-03 14252
1923 개념의 구조 김동렬 2008-09-01 13903
1922 공룡의 멸종원인 2 김동렬 2008-09-01 16155
1921 깨달음과 구조론 김동렬 2008-08-30 11337
1920 구조론과 깨달음 김동렬 2008-08-27 11936
1919 구조론 개념도 image 김동렬 2008-08-25 19541
1918 구조주의 양자론 김동렬 2008-08-19 10520
1917 예술의 본질 김동렬 2008-08-14 18450
1916 깨달음은 언제 소용되는가? 김동렬 2008-08-05 16257
1915 깨달음은 쉬운가? 김동렬 2008-08-04 12641
1914 모든 것을 설명하는 이론 김동렬 2008-07-19 14945
1913 다섯 가지 구조 김동렬 2008-07-18 13466
1912 극한의 법칙 김동렬 2008-07-08 15881
1911 구조론 개념도 김동렬 2008-07-05 10811
1910 상식의 고정관념을 깨라 김동렬 2008-07-01 12855
1909 구조주의 역사 김동렬 2008-06-25 12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