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963 vote 0 2006.02.04 (18:57:37)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예술은 그 질서를 나의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가능한가?

진리는 위대하지만 저 높은 곳에 있다. 그 곳은 높고 멀어서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진리가 인간과 별개로 존재한다면?  

그래서는 안된다. 진리와 나를 연결시켜줄 그 무엇이 존재해야 한다. 내 안에 저 높은 곳의 진리와 공명하는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

학문이 단지 진리를 파악하는 데서 끝난다면 허무할 뿐이다. 재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최종적으로 나의 사랑을 완성시키지 않으면 진리도 의미없다.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그 질서는 인간의 삶과도 공명한다. 그것을 우리는 진리라 부른다. 인간은 그 진리를 통하여 가치를 유도한다.

예술은 진리 안에서 ‘가치’라는 정수를 뽑아내어 인간의 삶에 배달한다. 그러한 배달과정을 우리는 ‘의미’라고 부른다.

●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그것이 곧 진리다.
● 인간은 가치를 배달하는 방법으로 불멸의 진리와 공명한다.
● 가치는 의미를 담보한다. 의미는 가치를 각자의 삶에 반영하는 것이다.
● 의미는 가치의 배달을 통하여 진리와 공명하게 함으로써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각각 완성시켜 주기에 의미있다.
● 사랑이라는 방법으로 내 안에 반영된 세계의 질서를 재현하기에 성공할 때 각자의 존재는 완성된다.

만약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제 각각 완성시켜 주지 않는다면? 다른 어떤 것을 위하여 나를 소모품으로 희생해야 한다면? 인간의 삶이 1회용의 인스턴트 커피 같은 존재라면? 진리도 가치도 의미도 필요없다.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제 각각 완성시켜 주는 것. 그것이 사랑이다. 그것이 팝의 정신이다. 대중예술의 본질이다.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계의 질서를 파악하기. 그것이 클래식의 정신이다. 예술은 그 질서를 자기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그것은 무엇인가? 신의 질서를 인간의 안에서 재현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13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999
6892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62
6891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83
6890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81
6889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69
6888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29
688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39
6886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601
688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45
6884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101
6883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31
688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72
688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30
6880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96
6879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369
687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806
6877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414
6876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49
6875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39
6874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562
687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