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906 vote 0 2006.02.04 (18:57:37)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예술은 그 질서를 나의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가능한가?

진리는 위대하지만 저 높은 곳에 있다. 그 곳은 높고 멀어서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진리가 인간과 별개로 존재한다면?  

그래서는 안된다. 진리와 나를 연결시켜줄 그 무엇이 존재해야 한다. 내 안에 저 높은 곳의 진리와 공명하는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

학문이 단지 진리를 파악하는 데서 끝난다면 허무할 뿐이다. 재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최종적으로 나의 사랑을 완성시키지 않으면 진리도 의미없다.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그 질서는 인간의 삶과도 공명한다. 그것을 우리는 진리라 부른다. 인간은 그 진리를 통하여 가치를 유도한다.

예술은 진리 안에서 ‘가치’라는 정수를 뽑아내어 인간의 삶에 배달한다. 그러한 배달과정을 우리는 ‘의미’라고 부른다.

●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그것이 곧 진리다.
● 인간은 가치를 배달하는 방법으로 불멸의 진리와 공명한다.
● 가치는 의미를 담보한다. 의미는 가치를 각자의 삶에 반영하는 것이다.
● 의미는 가치의 배달을 통하여 진리와 공명하게 함으로써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각각 완성시켜 주기에 의미있다.
● 사랑이라는 방법으로 내 안에 반영된 세계의 질서를 재현하기에 성공할 때 각자의 존재는 완성된다.

만약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제 각각 완성시켜 주지 않는다면? 다른 어떤 것을 위하여 나를 소모품으로 희생해야 한다면? 인간의 삶이 1회용의 인스턴트 커피 같은 존재라면? 진리도 가치도 의미도 필요없다.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제 각각 완성시켜 주는 것. 그것이 사랑이다. 그것이 팝의 정신이다. 대중예술의 본질이다.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계의 질서를 파악하기. 그것이 클래식의 정신이다. 예술은 그 질서를 자기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그것은 무엇인가? 신의 질서를 인간의 안에서 재현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315
6198 엽기캐럴임돠. 김동렬 2002-11-26 15927
6197 하고싶은 욕은 산더미 같지만, 탱글 2002-12-19 15924
6196 대구 부산은 디비졌슴다. image 김동렬 2003-08-22 15919
6195 동영상 강의 2 김동렬 2009-06-01 15915
6194 단상 - 황우석은 벤처를 했어야 김동렬 2005-12-18 15914
6193 내가 유시민을 지지하는 이유 김동렬 2007-09-15 15912
6192 정말 시너지 효과가 날까요? 탱글이 2002-11-18 15911
6191 음.. **의 친구^^ 2002-10-17 15911
6190 참교육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03 15910
» 학문과 예술 김동렬 2006-02-04 15906
6188 말발이 딸리는 것이 너무 속상했습니다. 키쿠 2002-10-30 15904
6187 자람의 성공과 이현세의 실패 image 김동렬 2009-01-14 15900
6186 여론조사 그리고 노무현의 선택 김동렬 2002-11-06 15899
6185 포지션으로 본 차원개념 image 1 김동렬 2011-06-23 15898
6184 월드컵 심리 그리고 3 김동렬 2010-06-14 15897
6183 미친 오마이뉴스 김동렬 2006-01-13 15895
6182 과학과 미학의 전략 6 김동렬 2009-10-16 15890
6181 鄭 후보가 밝혀야 할 것들(한국일보10.24) -퍼옴 무당벌레 2002-10-25 15883
6180 황라열 먹은 조선 지충호 먹은 한나라 김동렬 2006-05-30 15882
6179 낳음과 성장 image 1 김동렬 2011-02-25 15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