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835 vote 0 2006.02.04 (18:57:37)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예술은 그 질서를 나의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가능한가?

진리는 위대하지만 저 높은 곳에 있다. 그 곳은 높고 멀어서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진리가 인간과 별개로 존재한다면?  

그래서는 안된다. 진리와 나를 연결시켜줄 그 무엇이 존재해야 한다. 내 안에 저 높은 곳의 진리와 공명하는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

학문이 단지 진리를 파악하는 데서 끝난다면 허무할 뿐이다. 재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최종적으로 나의 사랑을 완성시키지 않으면 진리도 의미없다.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그 질서는 인간의 삶과도 공명한다. 그것을 우리는 진리라 부른다. 인간은 그 진리를 통하여 가치를 유도한다.

예술은 진리 안에서 ‘가치’라는 정수를 뽑아내어 인간의 삶에 배달한다. 그러한 배달과정을 우리는 ‘의미’라고 부른다.

●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그것이 곧 진리다.
● 인간은 가치를 배달하는 방법으로 불멸의 진리와 공명한다.
● 가치는 의미를 담보한다. 의미는 가치를 각자의 삶에 반영하는 것이다.
● 의미는 가치의 배달을 통하여 진리와 공명하게 함으로써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각각 완성시켜 주기에 의미있다.
● 사랑이라는 방법으로 내 안에 반영된 세계의 질서를 재현하기에 성공할 때 각자의 존재는 완성된다.

만약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제 각각 완성시켜 주지 않는다면? 다른 어떤 것을 위하여 나를 소모품으로 희생해야 한다면? 인간의 삶이 1회용의 인스턴트 커피 같은 존재라면? 진리도 가치도 의미도 필요없다.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제 각각 완성시켜 주는 것. 그것이 사랑이다. 그것이 팝의 정신이다. 대중예술의 본질이다.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계의 질서를 파악하기. 그것이 클래식의 정신이다. 예술은 그 질서를 자기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그것은 무엇인가? 신의 질서를 인간의 안에서 재현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620 인간이라는 존재의 가벼움 1 김동렬 2020-10-08 3321
1619 헷갈리는 이유 1 김동렬 2019-10-10 3321
1618 인류원리 김동렬 2023-09-24 3320
1617 진리는 연결이다 3 김동렬 2021-09-18 3319
1616 명상수행 필요없다 1 김동렬 2020-11-17 3319
1615 인간의 멍청함 1 김동렬 2019-06-17 3319
1614 이재명 지지율이 오른 이유 김동렬 2022-01-03 3318
1613 의리 권력 자유 평등 정의 김동렬 2021-06-16 3318
1612 윤석열은 그냥 총살하면 된다. 김동렬 2020-11-15 3318
1611 이제는 다윈을 넘어설 때 1 김동렬 2019-10-30 3318
1610 보수꼴통의 유기견 행동 1 김동렬 2020-06-23 3317
1609 모순은 언어에 있다 2 김동렬 2019-01-20 3317
1608 저능아 진중권 2 김동렬 2020-08-10 3316
1607 김종인을 처절하게 밟아버려야 한다. 1 김동렬 2020-06-02 3316
1606 교권붕괴가 학교폭력 원인이다 1 김동렬 2023-07-14 3315
1605 정의당과 TK의 심술, 쉬운 녀석 류호정 image 3 김동렬 2020-11-19 3315
1604 역사는 불연속이다 1 김동렬 2019-06-21 3315
1603 열역학 1, 2법칙 2 김동렬 2019-06-25 3314
1602 모든 존재는 운동한다 1 김동렬 2019-07-22 3313
1601 엘리트주의와 다원주의 1 김동렬 2020-09-01 3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