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854 vote 0 2006.02.04 (18:57:37)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예술은 그 질서를 나의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가능한가?

진리는 위대하지만 저 높은 곳에 있다. 그 곳은 높고 멀어서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진리가 인간과 별개로 존재한다면?  

그래서는 안된다. 진리와 나를 연결시켜줄 그 무엇이 존재해야 한다. 내 안에 저 높은 곳의 진리와 공명하는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

학문이 단지 진리를 파악하는 데서 끝난다면 허무할 뿐이다. 재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최종적으로 나의 사랑을 완성시키지 않으면 진리도 의미없다.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그 질서는 인간의 삶과도 공명한다. 그것을 우리는 진리라 부른다. 인간은 그 진리를 통하여 가치를 유도한다.

예술은 진리 안에서 ‘가치’라는 정수를 뽑아내어 인간의 삶에 배달한다. 그러한 배달과정을 우리는 ‘의미’라고 부른다.

●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그것이 곧 진리다.
● 인간은 가치를 배달하는 방법으로 불멸의 진리와 공명한다.
● 가치는 의미를 담보한다. 의미는 가치를 각자의 삶에 반영하는 것이다.
● 의미는 가치의 배달을 통하여 진리와 공명하게 함으로써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각각 완성시켜 주기에 의미있다.
● 사랑이라는 방법으로 내 안에 반영된 세계의 질서를 재현하기에 성공할 때 각자의 존재는 완성된다.

만약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제 각각 완성시켜 주지 않는다면? 다른 어떤 것을 위하여 나를 소모품으로 희생해야 한다면? 인간의 삶이 1회용의 인스턴트 커피 같은 존재라면? 진리도 가치도 의미도 필요없다.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제 각각 완성시켜 주는 것. 그것이 사랑이다. 그것이 팝의 정신이다. 대중예술의 본질이다.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계의 질서를 파악하기. 그것이 클래식의 정신이다. 예술은 그 질서를 자기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그것은 무엇인가? 신의 질서를 인간의 안에서 재현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830
1665 비열한 윤석열 김동렬 2021-03-06 3651
1664 유시민 대안론 김동렬 2021-03-07 3847
1663 권력의지가 답이다 1 김동렬 2021-03-08 3199
1662 네 잘못이 아냐 image 1 김동렬 2021-03-08 3505
1661 고통은 권력의지 때문이다. 김동렬 2021-03-09 3230
1660 자연은 할 수 있는 것을 한다 김동렬 2021-03-10 2971
1659 사건은 머리와 꼬리가 있다 김동렬 2021-03-10 3351
1658 관측을 관측하라 김동렬 2021-03-12 2693
1657 한명숙과 룰라의 독수독과 김동렬 2021-03-12 3435
1656 검사 위에 국민 있다 김동렬 2021-03-13 2794
1655 파인만의 설명법 2 김동렬 2021-03-13 3321
1654 밤에도 혼자 걷고 싶다는 영국 여성 김동렬 2021-03-14 3488
1653 성선설과 성악설 김동렬 2021-03-15 3063
1652 세계 10강 한국 1 김동렬 2021-03-15 3599
1651 남자의 이유 여자의 목적 김동렬 2021-03-15 3667
1650 인간은 왜 껄떡대는가? 김동렬 2021-03-16 3628
1649 동기부여에 속지말라. 2 김동렬 2021-03-16 2992
1648 유전자를 남기기 위하여는 거짓이다 김동렬 2021-03-17 2936
1647 인간의 권력의지 김동렬 2021-03-17 2564
1646 윤석열 딜레마 김동렬 2021-03-18 3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