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시리즈 세번째]

비유할 수 있다. 남성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서구의 아폴론적 가치에 가깝다면 여성적 가치는 상대적으로 동양의 디오니소스적 가치에 가깝다.(비유에 불과하므로 이를 극단적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  

아폴론의 가치는 대립하여 충돌하는 양자 중에서 하나를 배제함으로써 집단의 의사를 결정하는데 기여한다. 디오니소스적 가치는 그렇게 결정된 의사를 집단의 성원 모두가 공유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욕망을 달성하는데 이바지한다.

동양이 여성에 비유된다면 페미니즘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투적 페미니즘’을 ‘전략적 페미니즘’으로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여성이 남성적 가치를 흉내내는 것이 아니라 여성적 가치를 보존한 채로 남성적 가치를 이용하는 거다.

의견이 충돌하다면 아폴론의 방법이 소용된다. 그것은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먼저 힘의 크기가 비교된다. 우월한 쪽은 선택되고 열등한 쪽은 버려진다. 버려진 쪽이 결과에 승복하면 갈등은 일시적으로 봉합된다.

그러나 소수의 불만은 잠재해 있다. 이 방법은 잠정적인 조치에 불과하다. 최종적으로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디오니소스의 해법이 사용된다. 인간이 추구하는 것은 가치이며 가치는 공유될 때 의미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무엇인가? 다 함께 광장에 모여 축제를 여는 것이다.

보다 남성적인 아폴론의 가치와 보다 여성적인 디오니소스의 가치가 있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하고 하나를 버리려 든다면 어리석다. 둘 중 어느쪽이 우월한가를 논하는 것도 어리석다. 다만 우선순위가 있을 뿐이다.

두 가지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되 자신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는 것이 맞다. 그것은 여성이 자신의 장점인 여성적 가치를 극대화 하면서 단점인 남성적 가치를 빌리는 것이다.  

남성 역시 마찬가지다. 남성적 가치만으로는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뿐 최종적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그 방법으로 경쟁에서 이길 수 있지만 친구를 잃어버린다면 그 승리는 무의미해지기 때문이다.

자신이 진정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아폴론은 침략해 오는 적을 퇴치하자는 것이고 디오니소스는 한 송이 꽃향기에 끌리어 광장으로 모이는 것이다. 적을 퇴치함은 물론 좋지만 꽃향기에 끌리지 않는다면 공허하다.

적을 퇴치한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인가? 적이 침략해 오지 않으면 어쩔 것인가? 아폴론의 가치는 결함투성이다. 그것은 불완전한 것이고 잠정적인 것이다. 그것은 최종적으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아니다.

여성이 남성의 아폴론을 흉내낸다면 이는 자신의 약점으로 상대방의 강점과 싸우는 경우일 때가 많다. 자신에게 불리한 게임의 룰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여성이 디오니소스적인 장점을 버려서 안 된다.  

서구가 직선적인 남성적 가치라면 동양은 곡선이 강조되는 여성적 가치다. 그동안 동양은 자신의 여성적 가치를 버리고 스스로 부끄러워 하며 서구의 남성적 가치를 추종해 왔다. 이 방법으로는 잘해야 2등을 할 수 있을 뿐이다.

앞서가는 서구를 근접하게 따라잡을 수는 있어도 추월할 수는 없다. 왜인가? 서구의 홈그라운드에서 서구의 룰로 경쟁하기 때문이다. 여성이 남성의 홈그라운드에서 남성의 룰로 싸워서는 겨우 2위를 할 수 있을 뿐이다.

남성은 공격에 능하고 여성은 유인에 능하다. 분명 차이가 있다. 이를 편견으로 보고 남성과 여성이 모든 면에서 같다고 우긴다면 그것은 남성이 정해놓은 룰로 남성의 홈그라운드에서 남성 심판관의 채점에 운명을 맞기고 싸우는 거다.

여성이 남성의 공격성을 배울 필요는 있다. 그러나 전투적 페미니즘의 방법으로 남성을 근접하게 따라잡을 수는 있어도 그걸로 남성을 추월할 수는 없다. 남성을 추월하려면 동시에 여성적 가치의 장점을 사용해야 한다.

적을 이기는 방법은 적보다 강해지는 것이 아니라 적의 룰을 자기의 룰로 대체하는 것이다. 전투적 페미니즘은 어느 면에서 남성이 만들어놓은 남성의 룰을 인정하는 것이기 쉽다. 전투는 남성의 장기가 아닌가 말이다.

남성을 이기려면 남성의 룰을 배척하고 여성 자신의 룰을 들이대야 한다. 여성 자신의 홈그라운드에서 여성심판관의 판정아래 여성의 무기로 남성을 이겨보일 수 있어야 한다.  

동양이 서구를 이기려면 서구의 룰을 배척하고 동양의 룰을 들이대야 한다. 동양의 홈그라운드에서 동양심판관의 판정아래 동양정신의 무기로 서구를 이겨보일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우리는 서구를 배워야 한다. 그러나 서구의 논리와 수학을 배움은 서구를 동양의 홈그라운드로 유인해 오는 선 까지다. 전투적 페미니즘도 필요하다. 그러나 그 효용성은 남성을 여성의 홈그라운드로 유인하는 선 까지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34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247
1604 세상은 구조다.[수정] 김동렬 2021-05-07 2886
1603 최장집의 몰락 1 김동렬 2021-05-08 3310
1602 한강 의대생의 죽음 김동렬 2021-05-09 3363
1601 사물에서 사건으로 김동렬 2021-05-09 3260
1600 도지코인은 사기다 김동렬 2021-05-10 3260
1599 원인은 공간에 있다 3 김동렬 2021-05-10 3047
1598 범인은 등잔 밑에 있다 김동렬 2021-05-11 3365
1597 근현대사의 진실 3 김동렬 2021-05-12 3006
1596 원자론과 구조론 10 김동렬 2021-05-12 3134
1595 비열한 내로남불 1 김동렬 2021-05-12 3240
1594 언어의 문제 1 김동렬 2021-05-13 3400
1593 우주의 방향성 9 김동렬 2021-05-13 2946
1592 타블로 죽이기와 한강 의대생 사건 2 김동렬 2021-05-14 4263
1591 위하여냐 의하여냐 4 김동렬 2021-05-15 2974
1590 나비효과의 오류 김동렬 2021-05-16 3270
1589 추상적 사고를 훈련하자 김동렬 2021-05-16 3806
1588 일론 머스크의 삽질 7 김동렬 2021-05-17 3852
1587 자기소개를 극복하는 글쓰기 1 김동렬 2021-05-17 4135
1586 세상은 마이너스다. 김동렬 2021-05-18 3131
1585 석가는 왜 왔니 왜 왔니? image 4 김동렬 2021-05-19 3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