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0486 vote 0 2011.10.10 (00:01:10)

 3.JPG

2.JPG

 

 

 21.jpg

 01.jpg

 



세상에 플러스도 있고 마이너스도 있지만 근본은 마이너스다. 세상의 본질은 마이너스다. 에너지가 있는 쪽은 언제나 마이너스다. 사건의 원인측은 항상 마이너스다. 스위치를 달아 통제할 수 있는 쪽은 마이너스다.

 

병법이 먹히는 쪽은 마이너스다. 플러스는 거의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비용이 다섯배로 더 든다. 세상을 마이너스 플러스 양쪽으로 이해하므로 헷갈리는 것이다. 몰아놓고 마이너스 한 방향으로 풀어가야 명확해진다.

 

장사꾼은 미리 비싼 가격표를 붙여놓고 철이 지나서 그 가치가 훼손된 만큼 세일을 함으로써 고객을 통제한다. 흥정을 통하여 가격을 올리기는 어렵지만 깎아주기는 쉽다. 비싸게 붙여놓고 적당하게 깎아주는게 마이너스 방법이다. 

 

잘 하면 연봉을 더 주겠다는 약속은 잘 지켜지지 않지만 못하면 그만큼 월급에서 까겠다는 약속은 잘 지켜진다. 악덕 포주가 흔히 쓰는 방법이다. 교육에 있어서도 잘못을 저지르면 체벌을 플러스 하는 방법보다 잘못을 저지르면 혜택을 줄이겠다는 마이너스 경고가 더 효과적이다.

 

플러스적 세계관은 세상의 시작과 끝을 설명할 수 없다. 세상은 완전성을 갖춘 원형에 도달함으로부터 시작하여 여러 변화형을 낳다가 그 원형의 완전한 훼손에서 끝난다. 이로써 일의 시작과 끝, 사건의 원인과 결과, 에너지의 작용과 반작용을 분명히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상을 통제할 수 있다. 원형은 에너지가 있고 변화형은 에너지가 없으므로 원형을 통하여 변화형을 통제할 수 있다. 반면 플러스적 세계관은 그러한 통제가 불능이다.

 

세상의 다양한 모습들은 진흙을 붙이는 소조가 아니라 돌을 깎아내는 조각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아이들이 퍼즐을 쌓을 때는 하나씩 추가하는 덧셈의 방법을 사용하지만 그 마음 속의 설계도에는 이미 완성된 형태가 존재하여 있어야 한다. 마음 속의 완성된 원형에서 하나씩 빼서 옮겨오는 마이너스 방법이어야 한다. 원형이 존재하지 않는 채 마구잡이 쌓기라면 창의력은 늘어나지 않는다.

 

퍼즐이 연출하는 여러 가지 모습들은 다양하게 쌓았기 때문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완전한 원형이 세상의 다양한 환경과 부대끼면서 조금씩 망가지고 훼손되었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그냥 마구잡이로 퍼즐을 쌓을 것이 아니라 환경이라는 무대와 짝짓기를 해야 하는 것이며 창의력은 그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것이다. 환경이 침투하여 하나씩 빼가는 방법으로 퍼즐을 조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의 바탕 위에서 창의력은 발달하는 것이다.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14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85
2399 전두환 죽고 윤석열 어쩌나? 2 김동렬 2021-11-23 4259
2398 주입식 교육의 폐해 2 김동렬 2021-10-11 4259
2397 하늘이 선택한 이재명 김동렬 2024-01-05 4257
2396 한국 부동산문제의 특수성 4 김동렬 2020-07-30 4254
2395 의리가 인생의 플러스알파다 김동렬 2021-06-08 4252
2394 윤이 특검을 거부하는 이유 김동렬 2024-01-01 4251
2393 윤석열 일당의 발호에 대하여 1 김동렬 2021-06-29 4251
2392 진보 영역본능 보수 서열본능 김동렬 2021-06-17 4250
2391 예술은 만남이다 5 김동렬 2019-05-31 4250
2390 윤석열 죽음의 게임 김동렬 2022-08-07 4249
2389 타블로 죽이기와 한강 의대생 사건 2 김동렬 2021-05-14 4249
2388 이기는 힘과 합기술 image 김동렬 2022-08-17 4248
2387 현장에서 이겨야 이긴다 2 김동렬 2021-08-27 4248
2386 최재형 실언, 정경심 판결 김동렬 2021-08-11 4248
2385 연속과 불연속의 세계관 4 김동렬 2019-06-28 4247
2384 진중권이 웃겼다 3 김동렬 2023-05-25 4241
2383 인간은 잘 속는 동물이다 1 김동렬 2018-09-20 4240
2382 윤씨의 폭언정치 1 김동렬 2023-06-28 4238
2381 우리가 이겨야 끝나는 전쟁이다 3 김동렬 2022-01-27 4237
2380 맞는 말 하는 사람을 조심하라. 1 김동렬 2018-12-20 4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