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412 vote 0 2011.10.05 (15:41:37)

 



세상은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조를 알아야 한다. 무언가를 안다는 것은 곧 그것의 구조를 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부인하는 사람은 없다. 이런 정도는 뭐 초등학생도 알고 있는 상식이다.

 

당장 주변을 둘러보더라도 모든 것이 구조다. 깃들어 사는 집이 구조로 이루어진 건물일 뿐 아니라 사람의 몸도 세포로 지은 건물이다. 기계의 장치도, 기업의 조직도, 금융계 시스템도 그렇게 지어진 구조체들이다. 구조 아닌 것은 없다. 구조는 어떤 것이든 그것이 탄생되기까지의 구축과정을 설명하기 때문이다. 탄생하지 않은 존재는 없는 것이다. 심지어 현대 철학의 경향도 구조주의다.

 

먼저 구조를 배우고 어디 가서 아는 체를 하더라도 하라는 말이다. 다른 어떤 분야라도 그렇다. 구조를 알아야 그 분야에 대해 아는 체 할 자격이 있다. 구조를 모르지만 알기는 아는 사람도 있다. 그들은 주로 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은 베테랑들이다. 그들은 자신의 지식을 전수하는데 서투르다. 그들은 현장에서 문제를 만나면 해결할 수 있지만 교과서를 만들어 그 지식을 널리 보급하지 못한다. 구조의 모형은 도제식으로 전수되는 지식을 보편화 하는데 유익하다.

 

피아니스트는 개인레슨을 통해 일대일로 지식을 전수할 수 있을 뿐이다. 화가나 디자이너들 역시 자기만의 독특한 감각을 교과서를 통해 널리 다중에게 전수하지는 못한다. 시인들도 마찬가지다.

 

예술이 다루는 것은 완전성이다. 완전성은 한 지점에 여러 개의 변수들이 동시에 맞물린 것이다. 그것을 말로 풀어서 설명하면 이미 완전성은 깨지고 만다. 대칭구조의 동시성을 말로 전달할 수 없다. 하나가 들어가면 동시에 하나가 나가는 대칭현상을 설명하지 못한다. 원인이 작용하고 한참 후에 결과가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동시에 성립한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한다. 성적표는 채점 후에 나오지만 이미 결정되어 있다. 시험치고 난 뒤에 기도한다고 성적이 올라가겠는가 말이다.

 

책을 읽으르면 한글을 익혀야 하고 셈을 하려면 구구셈을 외어야 한다. 구조를 쓰려면 역시 모형을 이해해야 한다. 모형을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들이 곧잘 구조에 대해서 말하면서도 실상 구조를 모르는 것이다. 대칭을 통하여 에너지를 전달하는 모형을 아는 것이 구조를 아는 것이다.

 

투수의 공은 포수의 코앞에 도달하여 심판에 의해 판정되지만 투구자세에서 이미 결정되어 있다. 경험있는 투수는 공을 놓기도 전에 이미 홈런임을 직감한다. 이미 투구동작에 들어간 상태라면 무너진 밸런스를 고칠 수 없기 때문이다.

 

모형을 통하여 그러한 대칭의 동시성을 전달할 수 있다. 예술가의 센스를 전달할 수 있다. 피아니스트의 특별한 감각과 운동선수의 순간적인 판단과 정치판의 높아진 긴장과 주식시장의 파동을 전달할 수 있다. 하나가 들어갈 때 하나가 나가는 지점을 포착할 수 있고 그것을 잡아놓는 방법도 알게 할 수 있다. 모형의 이해가 모든 지식의 출발점이다.

 

 

 72.JPG

 

 


http://gujoron.com




[레벨:15]오세

2011.10.06 (00:37:00)

전송됨 : 트위터

구조의 모형은 도제식으로 전수되는 지식을 보편화 하는데 유익하다--------

상담계에서도 대가들은 다 모형을 만들어 이론을 보급한다오. 

역시 모형이 있어야 함.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222
6826 전략적 사유 김동렬 2024-05-12 1060
6825 소크라테스 김동렬 2024-05-11 1021
6824 방시혁 민희진 윤석열 이준석 김동렬 2024-05-10 1525
6823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959
6822 일본과 독일의 성공 이유 김동렬 2024-05-09 1459
6821 직관론 김동렬 2024-05-08 954
6820 이성과 감성 김동렬 2024-05-07 1073
6819 신임을 잃었으면 물러나야 한다 1 김동렬 2024-05-06 1467
6818 마동석의 성공 방정식 김동렬 2024-05-05 1382
6817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김동렬 2024-05-04 1135
6816 순진한 한국인들 김동렬 2024-05-03 1595
6815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956
6814 인간은 언제 죽는가? 1 김동렬 2024-05-02 1669
6813 근본문제 김동렬 2024-05-01 1119
6812 헤어질 결심 - 한국 지식인의 저급함 김동렬 2024-05-01 1727
6811 문화혁명의 진실 김동렬 2024-04-30 1314
6810 진리의 문 김동렬 2024-04-29 1054
6809 박찬욱과 헤어지기 김동렬 2024-04-29 1293
6808 대구와 광주의 차이 김동렬 2024-04-29 1183
6807 공자 외에 사람이 없다 김동렬 2024-04-27 1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