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0056 vote 0 2011.10.03 (23:33:51)

 

 

 


구조론은 하나 안에 둘 넣기다.

 

 

 65.JPG

 

두 당구공이 맞닿아 있을 때, 두 당구공이 맞물리는 부분은 하나의 점이지만 두 당구공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가진다. 하나 안에 둘이 들어간 셈이다. 이렇듯 하나의 포지션에 최대 다섯개의 정보를 집어넣을 수 있다. 하나의 포지션에 동시에 다섯 개의 에너지 전달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66.jpg

 

구조는 에너지가 가는 길이다. 에너지는 일(work)을 한다. 일은 처음 다섯 개의 포지션을 확보한 상태에서 하나씩 포지션을 버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처음 힘을 모으는 데는 다섯 포지션이 필요하며, 그 힘을 다시 밖으로 내보내는 데는 네 포지션이 필요하고, 그 힘의 공간적 방향을 정하는데는 세 포지션, 시간적 전달에는 두 포지션, 표적을 맞히는 데는 하나의 포지션이 필요하다.

 

◎ 5 포지션은 계에 힘을 모을 수 있다.
◎ 4 포지션은 센터에서 힘을 보낼 수 있다.
◎ 3 포지션은 공간에서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 2 포지션은 시간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 1 포지션은 표적을 맞힐 수 있다.

  

세상은 대칭구조의 집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존재는 대칭원리를 사용하여 일을 한다. 하나의 대칭구조를 세팅하려면 다섯 개의 포지션 지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실은 수학계의 난제 중의 하나인 사색문제의 증명원리로 해명된다.

 

 

 67.JPG

 

다섯 포지션이 모여 대칭을 이룸으로써 세상을 조직하는 하나의 기본 모듈이 된다. 모듈은 작동은 다섯 포지션에서 네 포지션, 세 포지션, 두 포지션, 한 포지션으로 포지션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세상은 마이너스다.

 

세상이 어렵다지만 몰라서 어려울 뿐 알고 보면 쉽다. 어린이가 한글을 익혀야 책을 읽을 수 있고, 구구셈을 외어야 셈을 할 수 있듯이 반드시 넘어야 하는 관문이 있다. 그 관문을 넘으면 어려운 문제도 쉽게 풀린다. 세상의 모든 존재는 하나의 모듈을 공유하고 있다. 이 하나의 모형을 정복함므로서 모든 문제를 근원에서부터 해소할 수 있다. 이 그림을 머리 속에 담아두고 개별적인 사실에 적용하여 응용하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68.jpg

69.jpg

 

 70.JPG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820 이성과 감성 김동렬 2024-05-07 1012
6819 신임을 잃었으면 물러나야 한다 1 김동렬 2024-05-06 1423
6818 마동석의 성공 방정식 김동렬 2024-05-05 1339
6817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김동렬 2024-05-04 1093
6816 순진한 한국인들 김동렬 2024-05-03 1557
6815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904
6814 인간은 언제 죽는가? 1 김동렬 2024-05-02 1618
6813 근본문제 김동렬 2024-05-01 1082
6812 헤어질 결심 - 한국 지식인의 저급함 김동렬 2024-05-01 1670
6811 문화혁명의 진실 김동렬 2024-04-30 1283
6810 진리의 문 김동렬 2024-04-29 1016
6809 박찬욱과 헤어지기 김동렬 2024-04-29 1248
6808 대구와 광주의 차이 김동렬 2024-04-29 1146
6807 공자 외에 사람이 없다 김동렬 2024-04-27 1308
6806 방민전쟁. 선수들끼리 왜 이러셔. 1 김동렬 2024-04-26 1978
6805 방시혁과 민희진 3 김동렬 2024-04-25 2189
6804 부끄러운줄 모르는 한겨레 표절칼럼 김동렬 2024-04-25 1013
6803 빡대가리 동훈준석 멸망공식 김동렬 2024-04-24 1490
6802 방시혁 하이브 뉴진스 1 김동렬 2024-04-24 1615
6801 공자 김동렬 2024-04-23 1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