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0118 vote 0 2011.10.03 (23:33:51)

 

 

 


구조론은 하나 안에 둘 넣기다.

 

 

 65.JPG

 

두 당구공이 맞닿아 있을 때, 두 당구공이 맞물리는 부분은 하나의 점이지만 두 당구공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가진다. 하나 안에 둘이 들어간 셈이다. 이렇듯 하나의 포지션에 최대 다섯개의 정보를 집어넣을 수 있다. 하나의 포지션에 동시에 다섯 개의 에너지 전달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66.jpg

 

구조는 에너지가 가는 길이다. 에너지는 일(work)을 한다. 일은 처음 다섯 개의 포지션을 확보한 상태에서 하나씩 포지션을 버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처음 힘을 모으는 데는 다섯 포지션이 필요하며, 그 힘을 다시 밖으로 내보내는 데는 네 포지션이 필요하고, 그 힘의 공간적 방향을 정하는데는 세 포지션, 시간적 전달에는 두 포지션, 표적을 맞히는 데는 하나의 포지션이 필요하다.

 

◎ 5 포지션은 계에 힘을 모을 수 있다.
◎ 4 포지션은 센터에서 힘을 보낼 수 있다.
◎ 3 포지션은 공간에서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 2 포지션은 시간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 1 포지션은 표적을 맞힐 수 있다.

  

세상은 대칭구조의 집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존재는 대칭원리를 사용하여 일을 한다. 하나의 대칭구조를 세팅하려면 다섯 개의 포지션 지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실은 수학계의 난제 중의 하나인 사색문제의 증명원리로 해명된다.

 

 

 67.JPG

 

다섯 포지션이 모여 대칭을 이룸으로써 세상을 조직하는 하나의 기본 모듈이 된다. 모듈은 작동은 다섯 포지션에서 네 포지션, 세 포지션, 두 포지션, 한 포지션으로 포지션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세상은 마이너스다.

 

세상이 어렵다지만 몰라서 어려울 뿐 알고 보면 쉽다. 어린이가 한글을 익혀야 책을 읽을 수 있고, 구구셈을 외어야 셈을 할 수 있듯이 반드시 넘어야 하는 관문이 있다. 그 관문을 넘으면 어려운 문제도 쉽게 풀린다. 세상의 모든 존재는 하나의 모듈을 공유하고 있다. 이 하나의 모형을 정복함므로서 모든 문제를 근원에서부터 해소할 수 있다. 이 그림을 머리 속에 담아두고 개별적인 사실에 적용하여 응용하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68.jpg

69.jpg

 

 70.JPG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982
6704 영화 파묘와 쇠말뚝 해프닝 image 김동렬 2024-03-08 1892
6703 주체적 사고 김동렬 2024-03-07 1132
6702 한동훈 패션안경의 비밀 김동렬 2024-03-07 1542
6701 직관적 사고 김동렬 2024-03-06 1360
6700 정의당의 몰락공식 김동렬 2024-03-06 1564
6699 동이족은 없다 김동렬 2024-03-05 1296
6698 초월자 김동렬 2024-03-05 1206
6697 인간에 대한 환멸 2 김동렬 2024-03-04 1559
6696 인간에 대한 환멸 김동렬 2024-03-02 2237
6695 양면전쟁과 예방전쟁 김동렬 2024-03-02 1411
6694 사람이 답이다 1 김동렬 2024-03-01 1544
6693 셈과 구조 김동렬 2024-03-01 1055
6692 문명과 야만 김동렬 2024-02-29 1290
6691 배신의 정치 응징의 정치 김동렬 2024-02-28 1577
6690 손자병법의 해악 김동렬 2024-02-28 1305
6689 임종석과 자폐증 진보 4 김동렬 2024-02-28 1633
6688 기정과 탱킹 2 김동렬 2024-02-27 1425
6687 유권자의 갑질 김동렬 2024-02-26 1382
6686 신의 존재 김동렬 2024-02-26 1281
6685 오자병법 손자병법 2 김동렬 2024-02-26 1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