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0171 vote 0 2011.10.03 (23:33:51)

 

 

 


구조론은 하나 안에 둘 넣기다.

 

 

 65.JPG

 

두 당구공이 맞닿아 있을 때, 두 당구공이 맞물리는 부분은 하나의 점이지만 두 당구공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가진다. 하나 안에 둘이 들어간 셈이다. 이렇듯 하나의 포지션에 최대 다섯개의 정보를 집어넣을 수 있다. 하나의 포지션에 동시에 다섯 개의 에너지 전달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66.jpg

 

구조는 에너지가 가는 길이다. 에너지는 일(work)을 한다. 일은 처음 다섯 개의 포지션을 확보한 상태에서 하나씩 포지션을 버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처음 힘을 모으는 데는 다섯 포지션이 필요하며, 그 힘을 다시 밖으로 내보내는 데는 네 포지션이 필요하고, 그 힘의 공간적 방향을 정하는데는 세 포지션, 시간적 전달에는 두 포지션, 표적을 맞히는 데는 하나의 포지션이 필요하다.

 

◎ 5 포지션은 계에 힘을 모을 수 있다.
◎ 4 포지션은 센터에서 힘을 보낼 수 있다.
◎ 3 포지션은 공간에서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 2 포지션은 시간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 1 포지션은 표적을 맞힐 수 있다.

  

세상은 대칭구조의 집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존재는 대칭원리를 사용하여 일을 한다. 하나의 대칭구조를 세팅하려면 다섯 개의 포지션 지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실은 수학계의 난제 중의 하나인 사색문제의 증명원리로 해명된다.

 

 

 67.JPG

 

다섯 포지션이 모여 대칭을 이룸으로써 세상을 조직하는 하나의 기본 모듈이 된다. 모듈은 작동은 다섯 포지션에서 네 포지션, 세 포지션, 두 포지션, 한 포지션으로 포지션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세상은 마이너스다.

 

세상이 어렵다지만 몰라서 어려울 뿐 알고 보면 쉽다. 어린이가 한글을 익혀야 책을 읽을 수 있고, 구구셈을 외어야 셈을 할 수 있듯이 반드시 넘어야 하는 관문이 있다. 그 관문을 넘으면 어려운 문제도 쉽게 풀린다. 세상의 모든 존재는 하나의 모듈을 공유하고 있다. 이 하나의 모형을 정복함므로서 모든 문제를 근원에서부터 해소할 수 있다. 이 그림을 머리 속에 담아두고 개별적인 사실에 적용하여 응용하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68.jpg

69.jpg

 

 70.JPG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118
2417 존재론과 인식론 image 3 김동렬 2012-04-18 14396
2416 결혼한 뒤 바람 피우는 진짜 이유는 image 47 김동렬 2012-04-12 21198
2415 무조건 이긴다 image 3 김동렬 2012-04-08 11953
2414 포지션에서 시스템까지 image 1 김동렬 2012-04-05 10092
2413 구조는 체계다 image 2 김동렬 2012-04-04 10293
2412 구조론 100문 100답 image 10 김동렬 2012-04-04 9834
2411 숫자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2-04-02 27134
2410 북콘서트에서 강의한 내용 image 1 김동렬 2012-04-01 10222
2409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150
2408 구조론으로 본 광고전략 김동렬 2012-03-26 11490
2407 진화론에 주목한 이유 image 5 김동렬 2012-03-21 10488
2406 구조론은 즐겁다 image 3 김동렬 2012-03-14 11091
2405 갈 것인가 말 것인가? image 김동렬 2012-03-12 10819
2404 일본식 예쁜축구 잡는 법 image 2 김동렬 2012-03-06 11588
2403 주다는 있고 받다는 없다 image 3 김동렬 2012-03-03 15638
2402 미확인이면 닥쳐! image 김동렬 2012-02-28 11397
2401 수구꼴통의 자기도태 본능 image 1 김동렬 2012-02-27 11283
2400 플러스는 없다 image 6 김동렬 2012-02-22 11388
2399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579
2398 결따라 가라 image 4 김동렬 2012-02-20 1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