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0202 vote 0 2011.10.03 (23:33:51)

 

 

 


구조론은 하나 안에 둘 넣기다.

 

 

 65.JPG

 

두 당구공이 맞닿아 있을 때, 두 당구공이 맞물리는 부분은 하나의 점이지만 두 당구공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가진다. 하나 안에 둘이 들어간 셈이다. 이렇듯 하나의 포지션에 최대 다섯개의 정보를 집어넣을 수 있다. 하나의 포지션에 동시에 다섯 개의 에너지 전달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66.jpg

 

구조는 에너지가 가는 길이다. 에너지는 일(work)을 한다. 일은 처음 다섯 개의 포지션을 확보한 상태에서 하나씩 포지션을 버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처음 힘을 모으는 데는 다섯 포지션이 필요하며, 그 힘을 다시 밖으로 내보내는 데는 네 포지션이 필요하고, 그 힘의 공간적 방향을 정하는데는 세 포지션, 시간적 전달에는 두 포지션, 표적을 맞히는 데는 하나의 포지션이 필요하다.

 

◎ 5 포지션은 계에 힘을 모을 수 있다.
◎ 4 포지션은 센터에서 힘을 보낼 수 있다.
◎ 3 포지션은 공간에서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 2 포지션은 시간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 1 포지션은 표적을 맞힐 수 있다.

  

세상은 대칭구조의 집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존재는 대칭원리를 사용하여 일을 한다. 하나의 대칭구조를 세팅하려면 다섯 개의 포지션 지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실은 수학계의 난제 중의 하나인 사색문제의 증명원리로 해명된다.

 

 

 67.JPG

 

다섯 포지션이 모여 대칭을 이룸으로써 세상을 조직하는 하나의 기본 모듈이 된다. 모듈은 작동은 다섯 포지션에서 네 포지션, 세 포지션, 두 포지션, 한 포지션으로 포지션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세상은 마이너스다.

 

세상이 어렵다지만 몰라서 어려울 뿐 알고 보면 쉽다. 어린이가 한글을 익혀야 책을 읽을 수 있고, 구구셈을 외어야 셈을 할 수 있듯이 반드시 넘어야 하는 관문이 있다. 그 관문을 넘으면 어려운 문제도 쉽게 풀린다. 세상의 모든 존재는 하나의 모듈을 공유하고 있다. 이 하나의 모형을 정복함므로서 모든 문제를 근원에서부터 해소할 수 있다. 이 그림을 머리 속에 담아두고 개별적인 사실에 적용하여 응용하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68.jpg

69.jpg

 

 70.JPG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17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91
3659 파리대왕의 나라 8 김동렬 2014-01-17 9268
3658 삶의 인과법칙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252
3657 구조론으로 본 진화원리 김동렬 2007-02-04 9250
3656 날아가는 총알을 다른 총알로 맞춰서 밀어주기 김동렬 2018-05-30 9249
3655 인간은 왜 잘생겼을까? image 2 김동렬 2016-08-08 9249
3654 세상은 빵에서 나와 빵으로 돌아간다. image 김동렬 2016-10-12 9248
3653 기본원리 image 김동렬 2013-11-07 9248
3652 약자의 딜레마 5 김동렬 2018-06-11 9246
3651 독자의 반론에 대하여 김동렬 2003-05-15 9242
3650 대칭은 특이점의 공유다 image 김동렬 2013-11-05 9238
3649 응답하라 대한민국 1 김동렬 2013-12-17 9232
3648 사과 안에는 사과가 없다. image 김동렬 2018-05-28 9212
3647 SM, YG, JYP image 김동렬* 2012-10-21 9203
3646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201
3645 깨달음의 문제 3 김동렬 2013-12-03 9195
3644 구조로 본 관성의 법칙 image 김동렬* 2012-10-21 9195
3643 구조론 최종보고 image 김동렬 2016-10-17 9179
3642 닥치고 모형을 내놔봐. 2 김동렬 2013-11-18 9177
3641 진리를 추적하는 방법 3 김동렬 2013-10-17 9173
3640 개는 불성이 없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70